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노란누에137
노란누에13724.04.18

우리지구의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 지구의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주와 같은 색이 아닌 낮에는 하늘색을 띄는 이유와 밤이되어 어두워졋을떄 별빛이 보이는 밤하늘색이 실제 우주와 같은 색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하늘이 낮에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레일리 산란이라는 현상 때문인데요. 대기를 구성하는 기체 분자들은 태양빛을 산란시키는데, 이 때 짧은 파장의 빛일수록 더 많이 산란되며 빛의 파장 중 가장 짧은 청색 영역의 빛이 가장 강하게 산란됩니다. 반대로 긴 파장의 빛은 상대적으로 산란되는 정도가 약합니다. 결과적으로 하늘에는 짧은 파장의 청색 영역 빛이 많이 도달하게 되어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지구의 하늘이 파란색인 이유는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파란색 빛이 다른 색보다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파란색 빛의 파장이 짧아서 대기 분자와 더 많이 상호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낮에는 하늘이 파랗게 보이고, 저녁에는 붉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어 노을이나 일몰의 붉은 빛이 눈에 띕니다 밤하늘은 실제 우주 공간의 색과는 다릅니다. 우주 공간은 거의 검은색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밤하늘에서 우리가 보는 별빛은 지구 대기에서 산란된 빛입니다. 특히 파란색 빛은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밤하늘도 어느 정도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빛이 흡수되고 남은 푸른색 빛이 우리눈에 들어오게 된것이고, 현재보다 대기가 두껍다면 붉은색, 얇다면 더 짙은 푸른색 등의 하늘을 갖게 되었을 것입니다.

    현재와 같은 대기 두께에서는 연한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하늘의 색은 주로 대기 중의 분자들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을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결과물입니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파란색 빛의 파장은 대기 분자들에 의해 더 강하게 산란됩니다. 이러한 산란 현상으로 인해 우리가 보는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