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견실한에뮤45
견실한에뮤45

고혈압 약 복용 시기와 부정맥문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7
기저질환
골다공증
복용중인 약
골다공증 약

안녕하세요?

국가건강검진 하거나 병원에 진료 받으러 가서 혈압 재면 148~150 사이로

나오는데요. 동네 병원에서는 아직 혈압약 먹으라는 얘기는 따로 없어요.

150까지는 고혈압 전단계던데요. 언제부터 혈압약을 복용해야 하나요?

지금은 골다공증 약만 먹고 있어요.(40대 후반이에요.)

걱정되는 건 뇌졸증 가족력이 있어요. 또, 코로나 처음 걸리고 나서 6개월 동안

심장이 아파서 동네 병원에서 심전도 검사를 하니 부정맥으로 나왔었는데요.

종합병원에서 심장 초음파와 운동 부하 검사는 정상이어서 문제 없다고 했어요.

(2022년도)

궁금한 것은 이렇게 혈압이 높으면 나중에 부정맥이 만성 질환으로

될 수도 있나요? 2달 전에 앉았다 일어나는 과정에서 어지러워서 2~3초 정도

정신을 잃은 적도 있고, 앉아 있는 상태에서 20분 정도 숨이 차서 입을 벌리고

있다 가라 앉은 적도 있어요.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에 가 볼까 했는데, 지금은

괜찮거든요. 어깨는 늘 심하게 아프고, 올 봄에 유독 어지러웠다가 지금은

괜찮아요. 지금 상황에서 심장 초음파와 운동 부하 검사 다시 받아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혈압을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조절이 어려울 때나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90mmHg 이상일 때 약물 치료를 고려합니다. 특히 뇌졸증 가족력이 있으시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골다공증 약을 드시고 계시지만, 고혈압 관리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맥의 경우, 심전도 검사에서 부정맥이 나왔으나 종합병원에서의 심장 초음파와 운동 부하 검사는 정상으로 나왔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서는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생활습관 개선, 특히 식이요법과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혈압을 관리하시고 지속적ㅇ로 혈압이 높다면 약물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