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전 약복용과 식후 약복용의 차이는 뭔가요?
내과병원에서 처방전을 받아서 약을 먹는데요~신기한게 이 약들이 전부 식전30분전 복용이라고 되어 있어서요. 일반적으로는 식후30분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최혜림 약사입니다.
약의 대사 기전에 따라 식전과 식후 복용이 나뉠 수 있으며 권장 용법에 맞게 복용해야 온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예로 위장약 중 위산 분비저해제의 경우 식전 30분에 복용하고 식사를 해야지만 충분한 효과가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내과병원 처방전 받아서 약 먹는데
이 약들이 전부 식전 30분전
복용이라고 되어 있는 이유는
식전에 먹어 위장운동을 활발히 하여
약효를 최대화 하려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식후 30분인 이유는
위장장애 방지와 복약순응도 증진을 위해서 입니다
안녕하세요. 진태웅 약사입니다.
내과 처방약에 따라 다르겠으나 일반적으로 위장관계 치료약이 식전복용이 많으며 약효상의 효과면에서 식전 미리복용하는경우, 음식으로 흡수를 방해받는경우가 있을때 식전 또는 공복복용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식전약과 식후약의 차이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식전약은 상호작용, 약의 효과 등이 식사전에 복용시 더 좋은 약들입니다. 식후 약은 규칙적으로 복용하기 좋고 위장장애가 발생 할 수 있는 약들입니다. 일반화 할 수는 없겠지만 여러요소들을 고려한 복용법이겠습니다. 투약 받은데로 복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식전약과 식후약은 효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복용시간을 나누겠습니다. 식전약은 상호작용을 줄이고, 효과면에서 더 좋기때문에 복용시간을 식사전에 드시도록 안내합니다. 식후약은 위장장애, 복약순응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집니다. 많은 부분들이 고려된 복용시간이므로 지키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위장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거나 음식물에 의해 흡수율이 오르는 성분인 경우 식후 복용을 권장하며, 위산에 취약하거나 음식물에 의해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성분인 경우 식전 복용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