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치열하게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에 대한 것에 의견이 불립하게 싸우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누가 이길까요?
안녕하세요!
코린이입니다.
국민청원이 6만명이 넘어가고 지금 치열하게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에 대한 것에 의견이 불립하게 싸우고 있습니다.
결국에는 누가 이길까요?
전문가님들의 어디 쪽이 더 확률이 높다고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회의원은 유권자들이 뽑는 겁니다 저는 과세에 찬성합니다 제가 어디 가서 배달을 해서 5,000원을 받아도 과세를 합니다 가상 화폐로 1억 버는 사람이 과세가 안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죠 국민청원 6만 명은 소수자들입니다 또한 저도 연 300만 원 정도를 벌고 있기 때문에 250만 원 기본 공제나 지금 대안처럼 5천만 원 기본 공제를 하게 되면 우리 같은 사람은 과세랑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질문자가 몇십억씩 투자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벌면은 저같이 배달 1시간에서 만 원 벌어서 세금내는 사람 보다야 세금을 더내는 것이 선진국민이 아닐까요 미국이나 선진국들은 다 세금 내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들은 민주당에게 과반수로 권력을 위임했습니다 당연히 민주당 쪽으로 가겠지요
가상화폐의 과세는 이미 시행하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금투세는 주식시장을 실제로 안좋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고 그렇게 되면 실 경제가 안좋아지지만 코인은 과세로 인해 코인에 투자가 적어지더라도 실 경제에는 큰 영향이 없습니다.
또한 투자자외에 일반 사람들의 인식 역시 주식은 투자, 코인은 투기라는 느낌이 있어서 과세 하는 쪽으로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가상자산 과세 시행 시기를 두고 정부와 정치권, 투자자들 사이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가상자산 과세를 2025년에서 2027년으로 2년 추가 유예하는 방안을 제시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예정대로 내년부터 과세를 시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해 여야 간 논의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편, 가상자산 투자자들은 과세 유예를 주장하며 국민청원을 통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 가상자산 과세 유예를 요청하는 국민청원이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어 국회에 회부되었으며, 이는 국회에서 해당 청원을 심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가상자산 과세 시행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정부와 여당은 과세 유예를, 야당은 예정대로 시행을 주장하고 있어 향후 협의 결과에 따라 과세 시점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의 의견과 국민청원의 영향력도 고려될 수 있으므로, 정책 변화에 주의 깊게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추후 과세가 되더라도 대선이나 총선 등 큰 선거 이후로 진행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그 이유는 투자자들의 표가 반대 정당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이런부분에 대해 정당에서는 큰 부담을 느낄 것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 과세 안건은 민주당은 이번에 5000만원 공제 후 기타소득세로 22프로 부과하자이고 국힘은 금투세처럼 폐지하자 입니다
정치권 표 싸움이긴하지만 당장 내년부터 과세하는 안건은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 당장 코인투자자들 반발이 너무 강해서 결국 저는 2년 유예시키고 시간을 두고 결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상화폐투자자로서 저는 과세안 폐지에 동의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