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는 언제부터 자리잡게 되었나?
판소리는 언제부터 시작해서 우리나라에 형성이 되었는지요. 20세기 들어서 판소리로 자리잡은것으로 봐서 그훨씬 이전에 시작 되었을것 같은데 고수님들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30년(1754)에 유진한이 지은 춘향가의 내용으로 보아 적어도 숙종 시대에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본다
판소리가 발생할 당시에는 한 마당의 길이가 그리 길지 않아서 판소리 열두 마당이라 하여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 배비장타령, 변강쇠타령, 장끼타령, 옹고집타령, 무숙이타령,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 등 그 수가 많았다. 그러나 현실성없는 이야기 소재와 소리가 점차 길어지면서 충, 효, 의리, 정절 등 조선시대의 가치관을 담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만이 보다 예술적인 음악으로 가다듬어져 판소리 다섯마당으로 정착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판소리가 우리 역사와 희노애락을 함께해온 우리문화의 정수로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제2차 무형유산 으로 선정되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판소리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30년(1754)에 유진한이 지은 춘향가의 내용으로 보아 적어도 숙종(재위 1674∼1720) 이전에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하기도 하고, 조선 전기 문헌에 보이는 광대소학지희(廣大笑謔之戱)가 토대가 되었을 것으로 보기도 한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가 요즘의 형태와 같은 모양으로 갖춘 시기는 대략 17세기 중 후반 무렵에 서민층을 기반으로 확립되었습니다. 판소리는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고, 전국적 분포를 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후대에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고 봅니다. 이러다가 18세기에 판소리를 독자적인 공연 예술로 자리잡게 되어, 단순한 선율과 장단이 아닌, 다양한 선율과 장단으로 긴 이야기를 극적으로 표현해 나갑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판소리가 정식으로 자리 잡은 시기는 19세기 입니다. 이 당시에는 판소리의 성격 변모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판소리에 양반층이 열광하였다는 사실인데요. 양반층이 판소리 광대를 유가에 이용한 것은 성장기의 양상이기도 하지만, 이 시기에는 필수적이었으며 양반층이 판소리 판의 좌상객으로 등장하여 감상자와 비평가 역할을 하면서 직접 판소리 사설의 수정에도 참여하였다고 합니다. 양반들의 판소리 감상은 하나의 교양이 되었다고 하지요. 철종, 고종 등 왕들도 판소리를 즐겼으며, 광대들에게 후한 상이나 벼슬을 내리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 시기에 이르면 판소리 광대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청중은 민중이 아닌 양반이였고 따라서 민중 출신인 광대는 민중보다는 양반층을 위한 예술 활동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민중과는 거리를 두고자 노력하였다고 합니다. 양반층이 판소리의 애호가가 되면서 판소리 사설에 심각하고 중요한 변모를 가져왔다고 하지요. 거칠고 건강한 민중 의식을 담고 있던 판소리 사설이 양반층의 미 의식을 담게 되면서 전아 하고 고상하며 봉건적 질서를 중요시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