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행복을 찾아요
행복을 찾아요23.03.07

세자들은 어떤 교육을 받았나요?

왕가의 신분으로 태어나 왕위를 이어받기위한 준비를 했던 세자들은 어릴때부터 어떤교육을 받고 어떤 공부를 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서는 아침, 저녁 윗전에 문안 인사를 올리고 아침, 점심, 저녁으로 유학을 공부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고합니다.

    왕세자에게는 지덕체를 고루 발달시키는 종합적인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왕실 어른과 스승에 대한 예절을 익히고 각종 왕실 의례의 절차를 익히는 것이 학문을 습득하는 것 이상으로 중시되기도 했습니다. 손수 밭을 갈며 백성들의 삶을 체험하는가 하면, 시를 짓고 그림과 음악을 익히며 예술에 대한 안목도 키웠다고합니다.

    서연관은 왕세자의 교육을 맡은 세자시강원의 관원들로, 당상관과 당하관 정6품 사서, 정7품 설서 등 약 10명이 강의를 전담하여 세자의 일상생활과 교육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궁궐내 원자(유아) 교육기관


    보양청:3세이전 육아 보육담당기구–(내명부가 관활)


    강학청:5세이후 교육기구 (내명부 관활)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7세가되면 본격 교육기구


    세자시강원: 왕세자를 모시고 경서(經書)와 사적(史籍)을 강의하며 도의(道義)를 가르치는곳.



    보양청(輔養廳)조선시대 원자(元子)나 원손(元孫)의 보호·양육을 위하여 설치된 특별관서.


    3세 이전에는 輔養廳을 설치하여 보육을 담당



    강학청 에서 공주옹주들 교육을담당


    공주는 8세가 되면 세손강서원 을반 에서 교육을받고 11세가되면 요즘말로 수강완료 내명부에서 신부수업준비 과정을거칩니다



    원자의 경우에는 정1품∼종2품 3인, 원손의 경우에는 종2품∼정3품 당상관 3인이었고, 특별히 학문에 뛰어난 사람을 강학관에 임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밖에 서책담당 서리(書吏) 4인, 서사(書寫) 1인, 사령 4인, 수공(水工) 1인을 시강원의 예에 따라 임명하였다.


    궐내에 별도의 학당을 마련하여 초등교육을 행하였는데, 한자교육이 주가 되었으나 한글과 체조도 가르쳤다. 교재로는 『천자문』·『소학초록(小學抄錄)』·『동몽선습(童蒙先習)』·『격몽요결(擊蒙要訣)』 등이 사용되었다.


    수업은 매일 아침·낮·저녁 3회씩 정규적으로 행하여지며, 그 시간은 3각(三刻)​을 넘지 않았다. 그러나 강학청의 교육은 3세 정도의 어린 나이에 시작되었으므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왕세자 교육의 기본은 덕성교육이었습니다.

    또, 소학이 학습의 기본적인 책으로 유교의 도덕규범 중 필수적인 내용을 가려 뽑은 책으로 8세 안팎의 아동을 위해 편찬한 책입니다.

    또,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안부를 묻고, 효를 실천하며 저녁에 잠자리를 보살펴 드리고 부모에게 약을 올리기 전 먼저 맛을 보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왕세자는 공부를 시작하기 전 매일 전날 배운 내용을 확인받는 것과 한달에 2번 회강이라는 시험을 치뤘습니다.

    성적은 배운 내용에 대해 질의 토론 후 강경패로 매겼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세자는 동궁에 머물며 '세자시강원' 즉, 세자를 교육하는 기관에 소속된 관리들로부터 학문, 무예 등을 배우면서 성장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로 유교 경전(논어, 맹자 등등)이나 성리학 서적 등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졌었다고 볼 수 있지요.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세자들이 받는 교육과 공부는 그 시대와 문화, 국가의 체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세자들은 아버지인 국왕과 함께 궁중에서 살면서 국가 운영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예절과 도덕적 가치 등을 배웠습니다.

    일반적으로 세자교육은 사주(四藩)나 도서(讀書)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사주는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익히는 것으로, 주로 사사(史事), 주교(周敎), 병마(兵馬) 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습니다. 이를 통해 세자들은 전략과 전술을 익히고 국가의 안보와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도서는 세자들이 지식과 인성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도서 교육은 세자들에게 유교적 교육을 중시하면서, 교양과 예절,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성례(성리학), 선진(先進), 명리(命理) 등의 서적을 공부하면서, 세자들은 품위 있는 인간으로서의 자질과 통치자로서의 비서를 키웁니다.

    또한, 세자들은 훈민정음(訓民正音) 등의 국어 교육도 받았습니다. 그 이유는 국민과 소통하며 국가를 통치하기 위해서는 국어에 능통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세자들은 어릴 때부터 이런 다양한 교육을 받으면서, 그들의 지식과 인성을 기르고 국가의 미래를 맡을 준비를 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