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면 다 해결된다는 아이 어떻게 버릇을 고칠까요.
원하는 게 있으면은 울면 보통 해결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아이가 계속 원하는 게 있으면 울기만 하더라구요. 요즘은 조금 좋아지긴 했는데 그 버릇이 아예 없어지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릴때는 울음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만
자라면서 자꾸 징징 대면서 우는 경우에는 따끔하게 혼을 내야 합니다.
대화로서 자기의 의사를 표현 하도록 하셔야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이 있을 때 울음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니 걱정이 되고 화도 나겠습니다.
아이가 울 때는 어떤 대화를 하려고 해도 말이 안통할겁니다.
따라서 아이가 조금 안정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계속해서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안정이 되면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상대방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너의 생각을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울면 그 즉시 단호하게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우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에 대한 설명을 정확하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울지 않고 예쁜 언어로 또박또박 조곤조곤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해야 함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시는것이 좋으나
아이가 울어도 안돼는것은 들어주지 않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어느정도 감정에 대해서도 스스로조절하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아직 감정표현에 익숙하지 못합니다. 아이를 이해해주시는 것이
필요하며 아이에게 우는 등의 감정표현 이외에 감정표현의 다양한 방법을 교육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아이 눈높이로 교육해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울어도해결해주지않는경험을지속적으로하면좋아집니다
울면해결되는것들이아직있으니울면서 해결하려하는겁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운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인식을 줘서는 안됩니다. 때론 무관심이나 무반응으로 대처하는것도 필요합니다. 울음으로 표현하는것보다 다른 좋은 말로 표현할수 있도록 알려주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말로 표현을 하는 시기라면 울음보다는 자신의 의사 표현을 말로 할 수 있도록 올바른 표현방법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