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04.02

무디스 같은 신용평가기관은 미국정부산하의 기관인가요?

무디스, 스탠다드푸어스 같은 신용평가기관에서 국가 신용등급을 비롯해서 채권등의 신용등급을 매기잖아요, 그런데 무디스, 스탠다드푸어스같은 신용평가기관은 미국정부산하의 정부기관인가요? 아니면 사설기관인가요? 사설기관이라면 그들의 신용평가를 100%로 신뢰할수가 있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무디스(Moody's)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는 모두 미국의 사설 신용평가기관입니다. 이들은 각각 무디스인베스터서비스(Moody's Investors Service)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글로벌크레딧레이팅스(Standard & Poor's Global Credit Ratings)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신용평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와는 별개의 민간기업으로서 운영되고 있지만, 무디스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 모두 국제적으로 널리 신뢰받는 신용평가기관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독립적인 연구팀과 평가팀을 가지고 있으며, 전문가들이 직접 각각의 채권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신용등급을 결정합니다. 이들이 발표하는 신용등급은 시장에서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며, 대출금리나 투자 등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를 100%로 믿을 수는 없습니다. 이들이 평가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나 평가 방법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근 금융위기 이후에는 이들이 발행한 신용등급이 과대평가된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평가를 완전히 신뢰하지 않고도 다른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디스는 'Moody's Corporation'의 약자로서 미국에 본사를 둔 신용펴가회사입니다. 무디스는 1914년도에 설립된 법인으로 처음에는 철도증권의 위험도를 산정으로 시작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채권 평가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나 1930년도 대공황 시절에는 '무디스 채권 추천만이 이익을 얻을 수 있다'라는 말을 할 정도로 신용도가 대단하였습니다.

    이후 무디스는 기업체 및 국가를 대상으로 재무에 관련한 조사 및 분석을 시작하였고, 현재 세계 신용평가 시장에서 스탠다으앤푸어스와 함께 4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사립 신용평가회사'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디스(Moody's)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는 미국의 사설 신용평가기관입니다. 이들은 회사, 국가, 채권 등에 대한 신용등급을 매기는 전문 기관으로,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들의 신용평가는 100%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사실, 무디스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는 금융 위기 이후에도 그들의 신용평가가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금융 위기 이전에도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험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위기가 발생한 후에도 신용등급을 불합리하게 유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무디스와 스탠다드앤드푸어스의 신용평가는 참고할 수 있지만, 100%로 신뢰할 수 없습니다. 이들의 신용평가는 시장 참여자들이 반영하고 있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 하나에 불과하며,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참고하고, 신용평가 외에도 다른 지표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