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8.27

국제 신용평가기관에서는 무엇으로 국가의 신용 등급을 판단하나요?

국제 신용 평가 기관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국가들의 신용 등급을 결정하게 되나요?

S&P, 무디스, 피치 등 회사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무얼 보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신용등급을 매길 때는 정치적 위험과 경제적 위험을 함께 고려해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정치체제의 안정성, 국제금융시장 통합도, 안보상 위험 등과 경제성장률, 인플레이션, 공공부채, 외채 수준, 외환보유고 등을 고려한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 신용평가기관에서는 해당 국가의 부채수준, 금리수준, 경제성장률, 산업의존도, 해당 국가의 가계부채 및 기업부채수준등을 고려해서 신용등급을 산출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표시한 것으로 '해당 경제 내에서 외화표시 채권 발행에 대해 어떤 경제주체가 받을 수 있는 최상의 신용등급'을 뜻한다. 현실적으로는 국채의 신용등급을 의미하며, 국제금융시장에서 차입금리나 투자여건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통상 'AAA', 'BB+'와 같이 알파벳과 '+', '-'로 표기해 신용등급을 표시한다.

    국가신용등급은 정부의 채무상환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이 고려되어 등급이 결정되는데 크게 재정ㆍ경제적 조절능력과 채무규모가 고려된다. 재정적 조절능력이란 증세가능성ㆍ재정지출 축소 가능성을 말하며, 경제적 조절능력이란 혁신ㆍ경쟁력ㆍ산업경쟁력 등을 고려한 지표다. 채무규모는 실물경제ㆍ기준금리 등을 고려해 건전성을 평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낮은 금리를 적용하여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하거나 차관을 들일 수 있다. 그리고 국가신용등급은 해당 국가의 개별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신용등급이 나쁘면 해당 국가의 기업 재정이 건전하더라도 좋은 신용평가를 받기 어렵게 된다. 반대로 국가신용등급이 상승하면 공공기관이나 시중은행, 대기업 신용등급 상승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또 개별기관 신용등급이 올라가지 않더라도 국가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면서 조달 금리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국가신용등급은 개별 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신용평가와 비교하여 신용 평가의 역사가 짧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1984년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의 무디스나 스탠더드 앤 푸어스(S&P), 피치 등 국제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신용등급을 받은 정부는 12개에 불과하였고, 그나마 신용등급이 우수한 선진국이었다. 국가신용등급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어난 것은 1980년대 후반 중남미와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이 국제금융시장에 진출하여 적극적으로 자금조달을 시작하면서부터이다.

    출처:시사상식사전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신용등급은 투자환경의 위험 수준, 정치적 위험,

    금융제도 등 여러가지를 포함하여 판단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적인 신용기관인 피치, 무디스, S&P 등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은 경제성장률, 대외 건전성 등 경제성과 뿐만 아니라 정치 안전성, 안보위험 등 정치이슈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그 나라의 신용등급을 결정합니다. 이번에 미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평가 한 것도 이러한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국가재정상태 경제 성장과 안정성 외환 보유고 정치안전성 등 두루두루 평가해서 국가신용등급을 결정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성과, 재정 상황, 외환 보유액, 정치적 안정성, 법적 환경, 사회적 요인...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가의 신용 등급을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