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1

모든 행성이 동그란 모양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주에서 지금까지 발견한 모든 행성이 동그란 모양인데, 모든행성이 동그란 모양인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다른 모양인 행성이 존재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의 탄생은 가스로 부터 시작되는데 중력이 생겨서 가스를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힘으로 당기게 되므로 점차 구의 모양을 이루게 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구는 최소의 표면적으로 최대의 부피를 가지는 우주에서 가장 완벽한 도형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모양인 행성은 존재하지 않을 듯 합니다

    행성은 보통 중력이 작용하고

    중력은 모든 방향으로 작용하기때문에 동그란 모양을 하게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타원까지는 존재하여도 거의 모든 행성이 원형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혜성 탐사선 로제타 호가 찍은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모습을 보면여타 항성,행성,위성들의 둥근 공 모양과는달리 울퉁불퉁한 모양을 하고 있다. 질량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자체 중력이약해 구(球)의 모양을 할 수 없다라는 뜻입니다.

    ​천체가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느냐 아니냐가 바로천체의 질량과 중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잣대인 것입니다.


  • 순한참매12
    순한참매1223.01.21

    안녕하세요.

    그것은 지구와 행성의 만들어진 과정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수십억년 전 은하계 가운데 수소와 헬륨, 그리고 약간의 중원소로 이루어진 거대한 성간가스 구름이 회전하면서 중력에 의해 수축했다. 가스 구름 중심부는 수축함에 따라 점차 밀도가 높아져 질량이 큰 덩어리 하나를 만들어냈다. 이것이 원시태양이다.


    원시태양이 만들어지고 남은 가스들은 여전히 중력수축 하면서 주위에 있는 얼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메탄 등과 함께 섞여 AMS 입자를 형성했다. 이들은 원시태양 가까이에 모여 지름이 수 ㎞ 정도 되는 소행성 만한 미행성체로 발전했으며, 미행성체는 주위의 성간 물질을 끌어당겨 원시행성으로 자랐다.

    이러한 관계로 가스가 뭉쳐지기 때문에 그런줄로압니다.


  • 행성이 둥근 이유는 중력 때문입니다.

    중력은 전 방향(구 모양으로)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골고루 힘이 모입니다.

    따라서 둥글지 않은 행성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