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24.02.25

우주의 별들은 왜 전부 동그란가요?

하나같이 동그란 이유가있을까요 ? 우주곳곳에 물도있고 무런가의 법칙은 있는것같은데 왜 네모난행성 마름모형 행성 이런건 존재하지않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모든 것이 동그란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주의 모든 물질은 중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중력은 물체를 둥글게 만드는 힘입니다. 우주에서 물질은 자전하면서 동그랗게 된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는 물체의 중심에서 중력이 가장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주에서 물질은 자연스럽게 동그랗게 모이게 됩니다.

    하지만 왜 네모난 행성이나 마름모형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더 복잡한 이유가 있습니다. 우주에서 물질은 중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지만 물질의 형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행성의 형태는 행성을 구성하는 물질의 성질 자전하는 속도 자전축의 방향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네모난 행성이나 마름모형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이러한 요인들이 모두 동시에 적절하게 조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주에서 물질은 중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지만 우주의 다른 요소들도 물질의 형태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우주에서는 물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에너지 형태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에너지는 물질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모난 행성이나 마름모형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우주의 다양한 에너지 형태들이 물질의 형태를 동그랗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우주의 별들이 왜 전부 동그란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별들도 마찬가지로 중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동그랗게 모이게 됩니다. 그리고 별들은 자전하면서 동그랗게 된다는 것도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별들도 우주의 다른 물질들과 마찬가지로 동그랗게 모이게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네모난 행성이나 마름모형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더 복잡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이 둥근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모든 물체는 중력을

    가지고 있으며 중력은

    물체를 중심으로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행성을 구성하는 물질은 중력에 의해

    행성 중심으로 끌

    어당겨져 구형을 형성합니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력이

    강해져 더욱 완벽한 구형에

    가까워집니다.

    행성은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자전은

    원심력을 발생시킵니다.

    원심력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행성을 납작하게 만

    들려는 힘입니다.

    중력이 원심력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행성은 구

    형을 유지합니다.

    행성의 모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질량 질량이 클수록 중

    력이 강해져 더욱 완벽한 구형에 가까워집니다.

    자전 속도 자전 속도가 빨수록 원심력이 강해져 행성이

    납작해집니다.

    외부 충격 행성은 다른 천체와의 충돌로

    인해 완벽한 구형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네모난 행성이나 마름모형 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

    네모나 마름모 같은 모양은 중력과

    자전력의 작용에 의해 불안정합니다.

    이러한 모양의 행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력과

    자전력에 의해 둥근 모양으로 변형될 것입니다.

    행성은 중력과 자전력의 작용에 의해

    둥근 모양을 형성합니다.

    질량이 클수록 자전 속도가 느릴수록 외부 충격을

    받지 않은 행성일수록 더욱 완벽한 구형에

    가까워집니다.

    네모나 마름모 같은 모양의 행성은

    불안정하여 존재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만 둥근 것이 아니라, 지구나 달도 다 둥글다. 여기서 ‘천체는 다 둥글다’란 대체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런데 왜 개성 없이 똑같이 둥글기만 할까? 정답은 중력의 작용 때문이다.


    지구가 공처럼 둥글다는 사실을 인류가 맨처음 직접 눈으로 확인한 것은 1972년 12월 7일이었다. 달로 향하던 아폴로 17호의 승조원들이 되돌아본 지구의 모습은 ‘푸른 구슬’ 하나가 우주에 둥실 떠 있는 광경이었다. 선장 유진 서넌은 이 광경을 렌즈에 담았고, ‘푸른 구슬’이라는 뜻의 블루 마블(The Blue Mable)이라는 이름으로 가장 유명한 천체사진으로 등극했다.


    이처럼 지구가 공같이 둥근 것은 중력의 세기가 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질은 중력으로 뭉쳐지게 되는데, 중력은 중심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중력의 방향은 항상 물체의 중심으로 향한다. 중심에서 주위의 어느 쪽으로도 치우쳐지지 않는 균형된 중력의 세기를 유지하는 도형, 그것이 바로 구인 것이다. 자연은 이유 없이 어떤 것을 특별히 봐주지 않는다. 이처럼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성질을 구대칭이라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력은 물체를 위치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움직이게 만들므로 물질들은 위치 에너지가 낮은 곳에서부터 쌓이기 시작한다. 따라서 높낮이가 심한 표면의 울퉁불퉁함이 점차 매끈하게 변형된다. 덩치가 큰 행성의 중력은 중심을 향해 구형 대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물질이 구형으로 쌓이게 되면서 공 같은 구형을 이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