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6.23

러시아의 레닌이 공산주의 혁명을 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실 혁명이라는건 나라에 문제가 있어서 새세상을 꿈꾸며 하는 거잖아요.

당시 러시아의 상황이 어떠했길래 레닌이 공산주의 혁명을 하게 된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정러시아의 최후의 황제인 니콜라이 2세의 무능과 부패가 주요인이었습니다. 레닌은 1917년 두 차례에 걸쳐 혁명을 일으키게 되는데 1차혁명은 챠르체제의 붕괴였고 2차혁명은 다수파와 소수파의 싸우에서 다수파인 볼셰비키가 소수파인 맨셰비키를 제압하고 이룩한 혁명이기에 일명 볼셰비키혁명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이유는 러시아를 바꿔보려 해서 입니다.

    레닌은 귀족층 의 자제였으나 형이 황제 암살에 연루되면서 몰락을했습니다 그리고 독일로가서 마르크스 공산당선언이라는 책에 흠뻑취하죠. 그리고 독일에서 다시 러시아로와 볼셰비키당을 만들고 거기에서 우두머리를 담당합니다. 그리고 3월 혁명 10월혁명 볼셰비키혁명등으로 공산당이 국가를장악하죠.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1917년 러시아에서 공산주의 혁명을 이끌었습니다. 당시 러시아의 상황은 뿌리 깊은 불평등, 빈곤, 차르 니콜라스 2세 치하의 독재 통치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는 제1차 세계대전과 그에 따른 러시아 혁명의 혼돈 속에서 권력을 장악할 기회를 노렸습니다.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당은 임시정부를 무너뜨리고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을 세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러시아 혁명의 중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1차 세계 대전: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는 많은 인명과 재산을 잃었으며, 경제는 파탄났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 국민들은 점점 더 정부에 불만을 품게 되었습니다.

    * 짜르의 무능한 통치: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는 무능한 통치자로 국민의 고통을 외면하고, 전쟁을 계속함으로써 국민의 불만을 키웠습니다.

    * 볼셰비키의 선전: 볼셰비키는 러시아의 노동자와 농민을 대상으로 선전을 펼쳤습니다. 그들은 짜르의 무능한 통치를 비판하고, 공산주의 혁명을 통해 새로운 사회를 건설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러시아 혁명이 일어러고, 러시아 혁명은 20세기 세계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주의의 확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정 러시아의 타도에서 사상 최초의 사회주의 건설에 매진했던 제국주의 시대의 프롤레타리아 혁명. 제정 러시아에는 20세기에 이르러서도 차르의 전제지배가 엄존하는 가운데 사실상의 농노제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었으며, 대외침략전쟁이나 타민족에 대한 억압 정책을 계속해나갔다. 이에 대해 노동자와 민중의 불만·저항이 차츰 드세게 나타나던 중 러·일전쟁의 막바지인 1905년 1월 <피의 일요일> 사건을 발단으로 하여 제1차 혁명이 발발했다. 정부는 이를 군대의 힘으로 탄압하는 한편, 국회개설과 내정개혁을 약속함으로써 혁명을 일단 진정시키는 데 성공했으나, 그 후 영국과 손잡고 중공업을 육성하면서 반동정치를 강행, 제1차 세계대전에 몰입했다.

    그 결과 노동자·농민의 투쟁이 강화되는 한편으로, 지배층 중에서도 독일과의 단독강화·황제퇴위 등을 요구하는 세력이 차츰 강해져갔다. 17년 3월 8일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 「빵을 달라」는 시민의 데모가 관헌과 충돌한 것을 계기로 병사들의 반란이 시작되어, 12일 노동자·병사대표에 의해 소비에트(협의회)가 조직되었다. 국회 내의 자본가 그룹(카데트당)은 멘셰비키 및 사회혁명당과 손잡고 임시정부를 조직, 니콜라이 2세를 퇴위시킴과 동시에 영·불의 도움을 얻어 전쟁을 계속했다. 4월 스위스에서 귀국한 레닌은 <4월 테제>를 발표, 권력을 자본가의 손에서 노동자·빈농의 손으로 옮길 것을 주장, <일체의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볼셰비키를 지도했다. 7월 케렌스키를 수반으로 하는 임시정부는 전선에서 공세를 취해 군대의 힘으로 데모를 탄압하고 볼셰비키를 지하로 몰아넣어 레닌은 한때 핀란드로 망명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대해 볼셰비키는 평화혁명의 시가는 끝났다고 판단, 11월 7일 소비에트 대회의 결정을 거쳐 봉기를 단행하고 레닌을 수반으로 하는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했다. 이어 <국토에 관한 포고>를 발표, 지주의 소유지를 국유화하고 은행·산업의 노동자관리에 착수했으며, <평화에 관한 포고>에 의해 모든 교전국에 즉시강화를 제창, 18년 독일과의 단독강화에 의해 평화를 회복한 후, 반혁명과 미·일·영·불 연합국의 간섭전쟁에는 적군으로써 대처하면서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에 착수했다. 러시아 혁명의 결과는 극동지방에까지 큰 영향을 미쳐 한국의 독립운동전선에도 공산주의 운동이 일어났으며, 좌파 정당·단체들이 활발히 건설되어, 이후 독립운동의 한 줄기를 이루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러시아 혁명 [Russian Revolution] (한국근현대사사전, 2005. 9. 10., 한국사사전편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