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 투자를 할 때 배당 기준일과 실제 수령 시기를 알수 있는 팁이나 세금 관련 주의할 점이 있나요??
배당주 투자에 관심이 있는데 배당 기준일과 실제 배당금 수령일이 달라 헷갈립니다.
그리고 배당금 수령 시 세금이나 유의할 점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배당주투자시 배당 기준일과 실제 수령 시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배당주를 매수하시면 그 종목 관련된 게시판들이 있습니다.
그런 곳만 찾아가셔도 배당액, 실제 배당이 나오는 날 등을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배당금은 15.4퍼센트가 제한 나머지 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기준일에 해당 배당주를 가지고 계셔야
수령일에 배당금을 수령하는 것이며
배당소득세는 15.4%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주 투자 시 배당 기준일(기록일)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결정되는 날로, 보통 배당락일(기준일 전 영업일)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합니다.
실제 수령일은 기업마다 달라, 발표 후 1~3개월 내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 IR 사이트나 증권사 HTS에서 배당 일정 확인 가능합니다.
배당소득세는 국내 15.4%(소득세+지방소득세), 해외 주식은 국가별 조세협정 따라 0~30% 부과 됩니다.
세금 신고 시 환급 가능성 체크하고, 소액 투자면 세율 낮은 ETF 를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기준일은 실제 배당금 수령일과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배당금 실제 지급일은 기업에서 공시로 알리기 때문에 해당 공시만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소득세는 자동 부과되어 배당금에서 제외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신경 쓸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주식같은 경우는 MTS에서 해당 종목을 클릭하면 재무정보나 공시정보를 클릭하게 되면 배당 기준일과 배당수령일이 같이 표기됩니다.
이게 아니라면 Inveting.com이나 야후파이낸스에가서 주식 티커명을 클릭후에 dividend의배당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국내주식같은경우 네이버에서 주식종목을 치고 공시탭에 들어가시면 주주총회가 끝나고 배당공시정보가 나옵니다 여기서 확인하시면 배당기준일과 지급일이 표기 되니 확인하시면 됩니다.
배당금 수령은 15.4%가 원천징수되므로 세금에서 별도로 신경안쓰셔도 되며 다만 내가 모든 배당과 이자소득합계가 연간 2천만원을 초과할경우에만 초과분에 대해선 종합소득으로 분류가 되니 신경쓰셔야 되나 이정도금액이면 10억이상의 배당주 투자가 되어야하므로 신경쓰실필요는 없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특정한날짜에 주식을 보유하고있어야만 배당을 받을 자격이 생깁니다.배당기준일 2영업일전까지 주식을 매수해야합니다.예를들어 12월31일이 기준일이면 12월29일까지 매수하여야합니다.국내의 상장기업의 배당금에 대한 세금은 소득세와지방세를 합한 15.4%가 원천징수됩니다.해외는 주식배당금에 따른 세율이 다르고 한국에서 다시 종합과세가 될수있으므로 이중과세방지협약을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주에 대한 투자를 할떄에는 주주명부를 폐쇄할때까지는 가지고 계셔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권리락일에는 주식의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배당을 받은 투자자들이 배당주를 매도하면서 현금화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배당주의 주가는 일정하게 흘러 안정되지만, 권리락일에는 주가의 변동이 클 수있으니 이 부분은 조심해야 합니다.그리고 배당에 대한 세금은 배당소득세라고 하여 15.4%가 발생한다고 보시면 되빈다. 이는 이익에 대한 세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