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페르니쿠스적 인식 전환이란 무엇일까요?
코페르니쿠스적인 인식 전환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어떤 경우에 코페르니쿠스적인 인식 전환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페르니쿠스는 눈에 보이는 대로 믿지 않았습니다. 그는 눈보다 과학이 더 정확하다고 믿었으며, 태양을 중심으로 발상을 전환할 경우 ‘눈에는 차지 않더라도’ 과학적으로는 완벽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단순히 어떠한 지식을 발견한 것이 아니라 인식의 틀, 패러다임을 바꾼 것이기 때문에 그 대전환은 단지 천문학뿐만 아니라 학문과 사상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쳤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고방식이나 견해가 기존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철학자 칸트가 인식은 대상에 의거한다고 생각되어 왔던 것을 역전시켜 주관의 선천적 형식이 대상의 인식을 성립한다고 주장합니다.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그의 저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자신의 인식론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이름 붙였다. 코페르니쿠스는 천체의 운행은 태양을 중심으로 돈다는 지동설을 주장해 당시 천동설을 숭배하던 기존 사회에 크나큰 충격을 가져다 준 인물이다. 즉, 칸트의 이 말은 과학적 인식의 근거를 객관이 아닌 주관으로 이전시켰다는 점에서 천문학상의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 비견할 만한 인식론상의 전환을 가져온 것을 비유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혁명적인 변화를 일컬어 흔히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하지요.
이 말은 '순수이성비판'을 통해 인식론
혁명을 이룩한 철학자 에마뉴엘 칸트가 처음 언급한 말입니다.
칸트가 인식의 중심을 인식의 대상에서 인식의 주체, 즉 인간으로 전환한 것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한 것입니다.
-출처: 인저리타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임마누엘 칸트가 저서 [ 순수 이성 비판 ]에서 평소 당연시 생각되던 것에 한 번 반기를 들어보라는 뜻에서 나온 개념이며, 당시까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이 절대적 가설이었지만, 지동설을 주장했던 코페르니쿠스가 옳았던 것처럼 역발상을 해보라는 교훈을 줍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코페르니쿠스적 인식전환 이라는것은 혁명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이것은 칸트가 인식의 중심을 인식의 대상에서 인식의 주체로, 즉 인간으로 전환한 것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