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
22.05.28

현재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세계각국이 인플레이션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영향으로 주식 등의 금융상품들에 투자한 사람들이 매우 힘들어하는 시기 입니다. 기름값등 물가가 올라 저도 생활하는데 힘듭니다.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은 어느 정도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의 견해로 말씀드립니다.

    인플레이션이란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오르는 현상인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화폐를 너무 많이 찍어내 화폐가 흔해져 가치가 떨어질 때, 혹은 전쟁이나 재난 등으로 원자재, 식자재 등의 가격이 상승할 때입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은 이러한 경우 말고도 매년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소득이 상승하고 그에 따라 물가도 따라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0년 전 국밥 가격과 지금의 국밥 가격을 비교해 보시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저도 금융상품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으로서 조금 힘드네요! 좋은 날이 오길 서로 기원 해봅시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3, 4월 물가지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4~5% 높은 수준입니다. 내년에도 4% 내외의 물가상승률을 예상하고 있어 당분간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통계청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1965년부터 물가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년 전만 해도 2%를 넘지 않는 물가상승률을 확인할 수 있고 코로나19 판데믹 직전인 2020년 3월에 1%의 물가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20042&checkFlag=N

  • 미국연준의 금리인상과 더불어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원유가격 상승 및 곡물공급이 원할하기는 커녕 전쟁으로인한 폐허로 사실상 농업은 불가능하게되었죠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나라는 인플레이션이 매우심각한 수준인데 그해 비하면 우리나라는 경제 세계 10위권으로 그나마 준수한 수준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7.01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역시 높은 물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다만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중 29위에 머물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