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심심한코끼리189
심심한코끼리18924.03.15

뻥튀기는 기계 원리와 곡물이 부프는것이 궁금해요

일반적으로 뻥튀기하면 고열 고압으로 곡물이 부피팽창하는것은 알겠는데요~~왜 녹지 않고 터지면서도 형태를 유지하는건가요? 가정에서도 뻥튀기 쉽게 할수 있는 방법도 있으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를 할때 고열과고압으로 곡물이 기압이 낮은곳으로 나오면서 팽창하게 되는데요

    녹지 않는 적당한 시간에 불을끄고 문을 열기 때문에 녹지 않고 형태를 유지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는 고열과 고압으로 인해 곡물이 부피를 팽창시키는 현상으로 이는 기계 원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곡물 내부에 있는 공기가 뻥튀기 과정에서 열과 압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곡물의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곡물의 겉면은 고열과 고압에 의해 단단하게 압축되어 형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녹지 않고 터지면서도 형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뻥튀기 과정에서 곡물의 겉면이 단단하게 압축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압축된 겉면은 고열과 고압에도 무너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뻥튀기 과정에서 곡물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면서 겉면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정에서 뻥튀기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뻥튀기용 풍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뻥튀기용 풍선은 고열과 고압에 강하게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뻥튀기 과정에서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풍선 외에도 뻥튀기용 플라스틱 봉지나 플라스틱 병 등을 사용하여 뻥튀기를 할 수 있습니다.

    뻥튀기는 기계 원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이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뻥튀기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곡물의 부피가 어떻게 팽창하는지 등을 공부하면 더욱 흥미로운 뻥튀기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가 일어나면 곡물 내부의 수증기 압력이 증가하여 부피가 팽창하게 됩니다. 이때 곡물의 견고한 외부 구조가 녹지 않고 터지면서도 형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곡물의 견고한 섬유 구조와 겉에 있는 견고한 피부층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조가 녹지 않고 터지면서도 형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팝콘 만들기 원리:

    - 팝콘은 수분이 포함된 곡물 속의 수증기가 가열되면서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마침내 압력이 너무 커져서 겉쌀이 터지면서 내부의 수증기가 방출되면서 팽창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집니다.

    2. 곡물이 팽창하는 과정:

    - 곡물 속의 수분이 가열되면 수증기로 변하고, 이 수증기가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겉쌀을 벽으로 삼아 팽창합니다.

    - 겉쌀이 터지면서 내부의 수증기가 방출되면서 팝콘 모양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는 압력 변화에 기반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뻥튀기 기계에 곡물을 넣어 밀봉한 후 열을 가하는 단계: 뻥튀기 기계에는 쌀이나 옥수수와 같은 곡물을 넣고 밀봉합니다. 이때 곡물은 수십 배의 압력을 받습니다.

    뚜껑을 열면 ‘뻥’ 소리와 함께 곡물이 부풀어 오르는 단계: 뚜껑을 열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곡물 속 압력이 커져 터집니다. 뻥튀기 기계 안에서는 열을 받는 동안 내부의 공기가 팽창하였기 때문에 쌀이나 옥수수 등이 터지지 않고 있다가 뚜껑을 여는 순간, 팽창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압력이 줄어들고 곡물이 폭발합니다.

    이렇게 뻥튀기 기계는 압력 변화를 이용하여 곡물을 부풀게 만드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는 쌀, 옥수수 등의 곡식류를 틀 안에 집어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해서 튀긴 과자입니다. 뻥튀기 기계에 쌀이나 옥수수등을 넣고 밀봉한 후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면 재료들이 계속 가열되면서 그 안에 있는 수분들이 달궈지면서 물이 수증기가 되는데요. 그때 기계 안은 밀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 수증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계속 쌓이게 있게 됩니다. 그러나 재료는 계속해서 열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수분들이 기화하려고 하지만 이내 기계 내부의 공간이 부족해서 결국 기존에 꽉 들어찬 수증기들과 공기들이 재료 내 수분들이 추가로 기화하지 못하게 억누르는, 이른바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기계의 입구를 열면 압력차에 의해서 안에 있던 수증기들이 급속하게 방출되고, 압력이 순식간에 빠져나가자 이미 열을 받을대로 받고 있던 재료 내 수분들이 순식간에 기화되면서 뻥튀기 기계에서 발산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부피가 커지면서 안에 있던 재료들도 부풀어 오르면서 뻥튀기가 되는 것입니다.(참조 : 나무위키 - 뻥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