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30조 원 규모의 추경을 발표했다는데요??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30조 원 규모의 추경을 발표했다는데요?? 돈을 풀면 당장에 내수진작은 되겠지만 나중에 인플레이션 발생하지 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형진 경제전문가
    박형진 경제전문가
    충북대학교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추경으로 한국은행은 인플레이션 자극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로 소비가 급락하면서 물가가 현재 안정적인 추세에 돌입하였습니다.

    수요의 자극도 제한적이며 일시적인 수요 증가가 있을 수 있으나 여전히 전체 경제규모면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도 어렵고 물가도 상승하고 있는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에 놓였습니다

    • 즉 내수를 살리려면 돈을 풀어야 하고 물가는 놓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물가를 잡으려다 보면 내수경제를 다 망치게 됩니다.

    • 따라서 인플레이션은 포기하고 우선은 경제를 살리기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추경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시중에 돈이 풀리면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의 내수는 거의 괴멸 직전까지 가고 있기 때문에

    장차 올 인플레이션보다

    당장 메마른 땅에 적은 양의 물이라도 줘야 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돈을 더 풀겠다고 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소비와 경기에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요가 과도하게 늘어나게 된다면 물가 상승 압력이 생길 수 있으며 이미 물가가 높은 현재 시장에는 물가 상승의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돈을 풀면 단기적으로 소비가 늘어 내수가 살아나요.

    하지만 지나치면인 아무래도 인플레이션 위험이 생길 수 있어요.

    공급이 부족할 때는 물가 상승이 더 심해질 수 있죠.

    그래서 정부는 추경 규모와 방향을 신중히 결정해야 해요.

    결과는 어떻게, 어디에 쓰느냐에 따라 달라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러한 추겨의 경우 국민들의 내수 진장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이것은 단편적인 것이며, 이러한 단편적인것이 장기적인 효과로 발휘가 되지 않는다면, 추후에 발생할 다양한 물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국민들이 더 큰 부담감을 느낄수 있기에, 이러한 단편적인 내수진작을 위한 추경은 다시 고려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종결정권자가 이러한 것들을 신경쓰지 않고 추경을 발표하게 된다면 이는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추경자체가 신규 화폐 발행이 아닌 방법으로 이뤄진다면 인플레이션 효과는 미미할것입니다. 위축된 소비심리 진작을 위한 자금 선순환 구조가 목표라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