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3.06.20

연극은 언제부터 시작된 장르인가요?

전세계에서 보면 연극이 어디에나 있었던것 같은데.

이 연극은 언제부터 시작된 것인가요?

연극의 시작이 언제인지 첫작품이 무엇이엇을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0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극은 삶의 근원적 · 총체적 경험에 기원을 두고 있다. 문명 이전 상태에서 인간은 생존유지를 위하여 자연을 초자연화하는 지혜를 터득하였고, 자연과 인간 사이에는 하나의 거대한 감응(感應)체계가 성립되기에 이른다. 제의 · 주술 · 굿 · 놀이라고 부르는 여러 형태의 모방의식이 여기서부터 나오게 되었다. 이렇듯이 분화되지 않은 상태의 ‘원시적 경험’은 축적과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종교 · 과학 · 예능 등 여러 가지 문화형태로 분화되었으며, 연극 또한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원시연극은 일차적 충동, 즉 생존을 위한 근원적 활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원시 심성(原始心性)은 자연을 초자연화하여 모든 생물 및 무생물에 정령(精靈)을 부여하고자 하므로 인간은 공감과 조응(照應)의 세계를 확대해 나갔다. 상징으로서의 물체가 생명과 활력을 얻게 됨에 따라 굿과 주술의 영험이 현실화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수렵 및 농경의식에서 입사식(入社式)주2 · 토테미즘 · 샤머니즘에 이르는 광범위한 제의적인 여러 형태가 바로 이러한 원시 충동에서 발생된 것이며, 거기에는 언제나 신비로운 힘을 부여받은 자가 제사장으로서의 특유한 권한을 행사하였다. 이때의 제사장이 근원적 의미의 배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의 제의에서 춤과 몸짓은 본질적 요소를 이루었고, 주문은 단순한 소리에서 꽤 복잡한 이야기의 구성에 이르기까지 근원적인 극적 양태(樣態)를 지녔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제의적 행사는 한편으로는 인간의 고유한 유희본능과 모방본능에 밀접하게 연관되었을 것이다. 우리말의 노릇 · 놀음 · 놀이 등이 다 같은 어원으로 유희 · 휴식 · 가요의 뜻을 지니고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연극을 뜻하는 여러 나라 고유의 낱말이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바도 비슷하다. 또한 우리말의 ‘짓’은 모방작용이 내포된 동작을 뜻하며, 거기에 따른다는 것은 하나의 거리(토막 · 장면)를 나타내는 짓거리, 즉 연극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연극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우리말의 ‘굿’을 보더라도 그 뜻에는 무당이 노래나 춤으로 신령에게 치성을 드리는 제의로서의 뜻과 아울러 여러 사람이 모여서 보는 구경거리, 즉 연극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굿거리에서 원시 신앙의 체계는 물론, 연극 또는 뒤에 다시 분화된 무용과 같은 예술이 싹텄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