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화사한큰고래48
화사한큰고래4824.02.23

육식동물이 육식동물을 잘 안잡아 먹는이유는?

동물영상 같은걸 보면은 육식동물이 사냥하는게 종종 나오는데 보통 초식동물을 잡아먹는데 사자같은경우는 최상위 포식자인데 왜 다른 육식동물은 안잡아 먹을까요? 맛이 없어서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속원숭이입니다.

    첫 번째로 효율입니다.
    강한 상대를 사냥하는데 드는 힘이 클 뿐더러 실패 확률도 높으며 본인이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영역싸움 이외에 사냥 목적으로는 서로 경계하다 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지컬 뿐 아니라 가죽 자체도 두껍거나 질기고 튼튼한 경우가 많아요.

    두 번째로 맛입니다.
    탄수화물 및 섬유질을 주식으로 하는 동물일수록 부드러우며 소화가 잘 되고, 지방이 많습니다.
    반대로 근육질이라면 씹는 것과 소화시키는 것도 일이겠죠?
    그래서 진화한 동물들은 사냥감의 체내에 균이나 소화액을 주입한 후 섭취하기도 합니다.

    세 번째로 양입니다.
    초식동물이 얻을 수 있는 식량이 더 많고, 출산되는 새끼의 양이 많습니다.
    굳이 육식동물을 찾아다닐 필요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육식동물도 육식동물을 먹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냥의 경우도 일어나지만, 육식동물 중에는 포식자 뿐 아니라 청소동물도 있습니다.
    몇 맹금류나 하이에나 등 청소동물이나 포식자인 동시에 청소동물이 있는데, 이 경우에 자주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포식자들은 서로 먹이 생태계에서의 경쟁자로 인식하여 먹지도 않으면서 죽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