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순수한표범211
순수한표범21122.12.06

겨울철 올바른 타이어 공기압 관리는?

안녕하세요

겨울철 자동차 관리에서


타이어 공기압의 올바른 관리법은 무엇일까요?


적정공기압의 예시와

냉간? 혹은 주행 후? 등 정확한 관리법을 요청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분발하는라이18입니다.

    겨울용 타이어는 트레드 홈 깊이가 50% 이하가 되면 겨울용 타이어가 발휘할 수 있는 제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됩니다. 밑창의 홈이 깊지 않은 등산화를 신고 겨울철 산행을 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인데요. 실제로 눈길 주행 시 타이어 마모 상태에 따라 제동 거리의 차이는 크게 발생합니다. 기존에 보관하고 있던 겨울철 타이어로 교체 시 마모도를 꼭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며, 트레드 깊이가 50% 이하일 경우 안전 운행을 위해 새 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적정 수치 : 승용차 공기압 : 30~33 psi / RV 공기압 : 35~40 psi

    무게가 많이 나가는 차량이나 평소 물건을 많이 싣는 차량의 경우에는 조금 더 넉넉히 넣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외부 기온이 10도씩 떨어질 때마다 공기압 역이 2.6psi 정도 떨어진다고 합니다. 공기압이 낮을 때 경고등 표시가 뜨는 경우도 있지만 오래된 차량의 경우에는 안 뜨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태평한극락조274입니다.

    개개인별로 차량에 사용하는 타이어가 다르기때문에 적정공기압 역시 상이합니다.

    장착중인 타이어의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계절별 적정공기압을 참조하시고,

    차량 출고시 순정타이어를 사용할 경우엔 운전석 문 안쪽에 표기되어있는 적정공기압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주행 후에는 운전자의 운전습관, 주행환경(아스팔트,비포장도로 등)에 따라 타이어내부 온도가 상이하여 어느것을 표준으로 잡기 힘들기에

    반드시 냉간(주차후 충분히 열이 식은상태)의 공기압을 기준으로 설정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