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모기체는 모기를 잡으면 왜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만들어지고 계속 스파크가 생기지 않나요??
전기 모기체는 모기를 잡으면 왜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만들어지고 계속 스파크가 생기지 않나요?? 전류가 흐르니깐 계속 발생되어야하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채에서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일어나는 것은 모기가 회로를 닫아 순간 방전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후 모기가 없어져 회로가 열리게 되며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간혹 모기가 죽어 금속망에 갇혀 있는 경우 스파크가 몇번 더 발생하지만 전기 저항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면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은 전류가 바로 물체에 흐르지 않고 물체가 전류가 흐르는 곳에 닿기 전에 공기를 통해서 이동이 되면 그때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기가 모기체에 닿아기 전에 전류가 공기중에 움직이게 되면서 스파크가 생기는것이고 그 이후에는 모기가 모게체에 닿으면서 전류가 흐르면서 공기를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모기에 흐르면서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슬기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채의 원리는 전류가 통하는 금속 망 사이, 모기 또는 파리가 끼었을 때 전압차를 발생시켜 잡는 원리입니다.
모기가 잡혔을 때에는 모기가 저항 역할을 해서 순간적으로 스파크가 일어나지만,
모기가 다 타서 죽은 경우에는 모기가 저항 역할을 하지 않아 전압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스파크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참조사이트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46/0000061398?sid=004
(헬스조선 - 모기 잡다 사람 잡는다… 에프킬라·전기모기채 같이 썼다 폭발 위험 [살아남기])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체는 모기가 두 금속망 사이에 끼일 때 회로가 close loop 상태로 완성되어 순간적으로 고전압을 방전시키는 원리인데요. 이 과정에서 스파크가 발생합니다. 모기가 죽은 후에는 회로가 open되어 더 이상 전기가 흐르지 않아 스파크가 멈추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모기체의 스파크는 모기가 닿을 때 순간적으로 회로가 닫혀 고전압이 방전되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모기가 타거나 증발하면서 회로가 바로 끊기기 때문에 전류 흐름이 멈춰 스파크도 즉시 사라집니다 즉 지속적인 전류 흐름이 아닌 순간적인 방전이라 계속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전기 모기채는 한번 방전 후에 다시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하기이 지속적으로 스파크를 발생하진 않습니다. 전기모기채는 축전지의 전압을 트랜스포머로 내부 승압을 하여 고전압으로 만듭니다. 그 후에 양극과 음극을 교차하여 촘촘히 구성되는데 벌레가 양극과 음극을 동시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축전지의 고전압으로 벌레를 관통하는 전류가 흘러 공기가 이혼화 되는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스파크가 생길때 축전지에 쌓인 에너지가 급격히 방전하게 되고 다시 충전의 시간이 필요하기에 재충전 후 다시 스파크가 생길 정도의 에너지를 방전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