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23.04.30

교류전동기에서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 특징 부탁합니다.

교류전동기의 종류로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가 있는데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동기는 어느 것이며 또한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의 특성 부탁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상에서 사용되는 전동기 중에는 주로 동기전동기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선풍기,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전동차 등에서 모터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 동기전동기입니다.

    동기전동기는 교류전동기의 한 종류로, 회전자에 자석을 부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고,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회전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동기전동기는 회전속도가 일정하며, 토크가 크고,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 구동력이 크기 때문에 부하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부하가 커질수록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단점도 있습니다.

    반면 유도전동기는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전류를 생성하고, 이 유도전류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유도전동기는 초기 구동력이 작아 부하에 대한 반응이 빠르며, 회전속도가 변하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효율이 낮아 큰 부하를 처리하기 어렵고, 회전수가 낮아 전동기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처럼 동기전동기와 유도전동기는 서로 장단점이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전동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동기는 유도전동기입니다. 유도전동기는 비교적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로 인해 유지 보수가 쉬우며 내구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유도전동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는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하는데, 회전자의 자기장이 고정자의 자기장에 끌리면서 회전 운동이 발생합니다. 이때 회전자의 속도는 고정자의 자기장의 변화 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유도전동기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자기장을 일정한 속도로 변화시키는 3상 교류 전류를 가하여 회전 운동을 발생시킵니다.

    반면, 동기전동기는 회전자와 고정자의 자기장이 항상 정확하게 일치하는 동기를 맞추어 운전합니다. 회전자와 고정자의 자기장이 일치하지 않으면 회전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기전동기는 정밀한 작동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팬, 펌프, 선반 등에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동기전동기는 교류 전원에서 동작하며, 회전자와 자기장이 동기화되어 회전합니다. 반면에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가 자체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자기장에 의해 회전합니다. 동기전동기는 항상 동기식으로 작동합니다. 속도와 모터의 속도는 부하와는 무관하지만 유도 전동기는 항상 동기 속도보다 작습니다. 부하가 증가하면 유도 전동기의 속도가 감소합니다. 유도 전동기는 자체 기동 토크를 가지지만 동기 전동기는 자체 기동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AC 전원에 동기화되기 전에 어떤 방법으로든 동기 속도까지 실행되어야합니다. 예를 들어, 동기 전동기는 고속 열차, 팬, 펌프 및 압축기와 같은 고속 회전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반면에 유도 전동기는 세탁 기계, 냉장고 및 에어컨과 같은 가정용 제품에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동기기와 유도기기의 차이점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동기기는 동기속도로 회전하는 기기입니다(동기속도는 회전자계의 속도입니다).


    3상전력이 동기기의 고정자부분에 인가되면 각 전압의 120도 위상차에 의해서 n극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합니다. 동기기와 유도기의 차이는 여기서 나는데요.


    동기기는 회전자부분에 직류전류를 흘려 줌으로 전자석을 만들어 주어서 회전자의 s극이 고정자의n극의 자계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회전자 부분을 고정자인 n극에서 끌어주어 같은속도로 움직이므로 최대부하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속도가 항상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도기의 경우엔 회전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구요. 그냥 다람쥐 쳇바퀴같이 생긴 농형회전자에 자속이 들어가면서 렌쯔의 법칙에 의해 기자력이 형성되는 원리입니다.


    유도기는 회전자계의 속도보다는 느리며 속도제어가 힘든 단점이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