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성실한금붕어38
성실한금붕어38

문턱 효과(threshold effect)가 무엇인가요?

경제 금융 공부하는데 있어서 세금 파트에서 세금의 문턱효과가 나오는데 정확히 이해가 잘 가지 않네요

양도소득세율과 장기보유특별공제율과 관련하여 설명해주실 수 있는 분 혹시 계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문턱효과는 일정한 기준을 넘었을 때 그 효과가 발휘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양도소득세율이 단계별 누진세율로 적용이 될 때, 과세표준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문턱효과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과세표준이 4,500만원일 때 15%, 4,700만원일때 24%라면, 과세표준이 4,700만원이 되지 않도록 노력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것을 문턱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문턱 높이까지 발을 들어 올려야 문지방을 넘어설 수 있는 것처럼, 일정한 수준에 이르러야 발생하는 효과로 세금과 관련하여 많이 적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단계를 거쳐야 그다음의 높은 단계로 발전하는 현상을 일컬어 문턱 효과(Threshold Effect)라고 부른다.문지방을 넘어서려면 문턱 높이까지 발을 들어 올리지 않고는 문턱을 넘어설 수 없다. 즉 일정한 기준이 넘으면 그 효과가 발휘된다는 의미이다. 문턱 높이까지 일정한 수준에 이르러야 그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문턱 효과(Threshold Effect)는 모든 일상에 적용될 뿐 아니라 직장인들이 가장 자주 경험하는 상황이다. 성공을 향한 포부가 아무리 원대하다 해도 첫 단계의 걸림돌을 넘어서지 못한다면 결코 최종 목표에 닿을 수 없습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를 설정하고 난 후에 실행 과정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조바심을 지혜롭게 다스리는 것입니다. 농부가 풍작을 기대한다면 봄에는 씨를 뿌려야 하고 때마다 잡초를 뽑고 거름을 주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문턱 효과(Threshold Effect)란 농부들이 절기마다 시기를 놓치지 않고 온 마음을 다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지요. 일반 경제 뿐 아니라 세금 등의 특정 분야 에서도 쓰이는데 세금의 문턱효과란 어느 단계 또는 어느 시점까지의 세금부담과 그 이후의 세금부담 간 차이가 큰 경우를 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세금의 문턱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는 보유세의 과세기준일, 양도소득세의 1가구 1주택 비과세기간, 적용세율 그리고 장기보유특별공제율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