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경제학에 관심이 생겨 책을 읽다 의문이 생겨서 질문남깁니다.
행동경제학 책을 읽다보니 나오는 내용 중에 휴리스틱이란 것이 있던데 설명으로 단순히 '직감' '어림짐작'정도로만 설명하고 대표적 휴리스틱에 단순화휴리스틱이 있다. 이렇게만 나와 있습니다.
좀 자세히 세분화된 휴리스틱 설명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휴리스틱은 시간이나 정보가 불충분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이 필요없는 상황에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림짐작으로써 가용성휴리스틱, 대표성휴리스틱,기준점및조정, 감정휴리스틱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가용성휴리스틱은 어떤 사건이 발생한 빈도를 판단할때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얼마나 떠올리기 쉬운가에 따라 그 발생빈도를 판단하는것입니다
대표적휴리스틱은 대표성이 있는지에 근거하여 특정범주에 속할 확률을 판단합니다
기준점및조정은 사람은 어떤것을 판단할때 초기기준을 설정하고 후 그 기준을 조정하는 방법으로 판단하는데 이를 기준점및조정이라고 합니다
감정휴리스틱은 인간은 감정에 따라 판단하는 일이 많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휴리스틱은 크게 대표성 휴리스틱과 가용성 휴리스틱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커피'라고 하면 당연히 커피를 내러서 파는 가게로 인식하지만 실제로는 커피 원두만 팔 수도 있고, 커피 클래스를 운영하는 곳일 수도 있는 것입니다. 후자는 익숙한 것을 더 잘 기억하는 것으로 정리가 되는데, 유명인 10명의 이름을 나열(A), 평범한 사람 10명의 이름을 나열(B)할 경우 A를 더 잘 기억하는 것이 가용성 휴리스틱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