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신기한퓨마62
신기한퓨마62

러시아는 정말 휴전 및 협상에 진정성이 있는 걸까요? 아니면 서방 압력에 제스처일까요?

안녕하세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직접 대화를 제안했는데요.
그는 대화의 목적이 분쟁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며 협상을 통해 새로운 휴전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말 휴전 및 협상에 진정성이 있는 걸까요?

아니면 서방 압력에 제스처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소한왈라비269
    검소한왈라비269

    이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제스처도 맞겠지만 러시아는 어떻게 하면 이득을 볼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구요 전쟁은 양팀의 피해가 있긴 하지만 지금 점령한 곳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서 더 점렴을 할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하면서 제스처를 하는거 같구요 빠르게 전쟁이 이끝나서 양팀해 사망자가 그만 나오길 바라고 있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서방압력에 의한 제스처 였다가 현재는 역으로 함부로 위엽하지 말라는 식의 행동을 보여주는거 같습니다 그 증거로 공계적으로 북한과 공조하고 있다는걸 인정했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의 파병이 있었다는걸 인정했고 러시아 북한 중국의 회담까지 추진하고 있습니다 결코 얕볼수도 없으며 오히려 지금과같이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미국의 동맹국들이 흔들리는 틈을 노릴거 같습니다 아마 중국의 대만 침공관련해서 큰판을 짜고있다는 걸로보여집니다 결국 중국이 공식적으로 러시아를 지원하지는 않고있지만 러시아의 전쟁이 끝나야 대만과의 전쟁이 순조로울거라서 러시아전쟁은 곧 끝나지 않을까 생각은 합니다 하지만 그 전쟁이 끝나는게 오히려 더큰 전쟁의 신호탄이 될수도있어서 그 어떤때보다 지금 더 불안한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 러시아라고 자국민 계속 갈아넣으면서 전쟁하고 싶지는 않을것이라 보여집니다.

    이쯤하면 항복하겠지 싶었던 우크라이나 수뇌부가 계속해서 결사항전을 외치며 대항하면서 전쟁이 이렇게까지 길어질것이라 생각은 못했을거에요.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직후부터 미국등이 적극적으로 나서 휴전을 종용하는 만큼 푸틴으로서도 종전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하는것 같고 종전을 하더라도 러시아 입장에서 이익이 될만한 협상조건도 만들어야 하기에 직접대화를 하자고 하는것 같습니다.

  • 푸틴 대통령이 제안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직접 협상과 휴전 제안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합니다. 이번 제안은 유럽 주요국 정상들이 러시아에 30일 무조건 휴전을 촉구하고, 이를 거부할 경우 추가 제재를 경고한 직후에 나왔습니다. 푸틴은 "조건 없이 직접 협상"을 강조했지만, 구체적인 휴전 수용 의사나 즉각적 행동보다는 다시 협상 테이블로 돌아가자는 메시지에 가까웠습니다.

    우크라이나와 서방은 러시아가 과거에도 부활절, 승전기념일 등 상징적인 시기에 일방적 휴전이나 협상 제안을 내놓았지만, 실제로는 이를 지키지 않거나 군사적 준비 시간을 벌기 위한 제스처에 불과했다고 비판해왔습니다. 실제로 러시아는 이전의 휴전 제안을 어기고 공격을 지속한 전례가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측은 이번 제안 역시 "진정성 없는 선전용 제스처"라고 평가하며, 진정성을 보이려면 최소 30일 이상의 실질적 휴전부터 수용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언급하는 "분쟁의 근본 원인 제거" 역시 우크라이나와 서방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예: 우크라이나의 중립화, 점령지 인정 등)을 내포하고 있어, 실질적 평화협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