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여전히친근한우동
여전히친근한우동

친구에게 돈을 빌려줄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친구가 큰 빚을져서 돈을 빌려달라고하는데

신뢰가 가는친구라 혹시 작성해야할게 잇을까요??

금액은 약 1000만원대이며 이런경우 어떻게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뢰가 가더라도 차용증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일부 이자는 받아야 나중에 친구와 더 큰 금전 거래를 할때 세금 등의 문제가 안생길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친구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람마다 다 다를 수 있지만

    저는 친구와 돈 거래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

    다만, 현재 질문해주신 분이 돌려 받지 않아도 괜찮을

    그런 여윳 돈이 있다면 그 만큼 그냥 친구에게 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차용증을 꼼꼼히 작성해 두는 것이 좋은데요. 차용증에는 채권자, 대여금액, 이자율, 변제기일, 변제방법, 지연손해금 등을 꼭 기입하시고, 차용증 작성 후 법무사 사무실에서 공증을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가장 먼저 자문해야 할 질문은 "이 돈을 완전히 잃어도 내 생활에 치명적 영향이 없는가?"입니다. 친구와 진솔한 대화를 나누시고 왜 필요하고 어떤 사유인지 명확하게 듣고 다른 해결방법을 유도하는게 좋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상환계획을 듣고 필요하시면 녹음을 하시거나 어떤 증빙사유를 미리 만들어놓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차용증은 만들어놓는게 나중에 법적으로 문제생길시 유용하니 미리 양쪽 모두 보호차원에서 만드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절대로 현찰로 직접주시면 안됩니다 계좌 이체로 진행하시고 꼭 이체 메모란에 대여금이나 차용금이라고 적어놓으시기 바랍니다. 이후 이체내역서와 차용증을 별도로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분할로 지급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친구라고 하더라도 돈을 빌려줄 때는 차용증을 작성해야 합니다. 차용증에는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 그리고 빌리는 금액 그리고 상환하는 기간 등을 정확히 명시해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천만원이란 큰돈이니 차용증을 작성하고 상환일 이자 금액등응 정확하 기재하세요.서운할지모르나 그래도 빌려주는 마음이 고마워서 좋은친구라면 헤아릴것이고 고마워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신뢰가 가는 친구일수록 돈 거래는 확실하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친구라면 그런 것들을 이해해주리라 생각합니다.

    차용증을 꼭 작성하시고, 서명을 받아두시길 바랍니다.

    더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공증을 받으셔도 좋은데, 금액에 따라서 서류만 해두셔도 좋습니다.

    언제까지 갚을 것인지, 이자는 어떻게 할 것인지가 정확히 들어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친구사이에도 차용증을 작성해야 합니다.

    서로 마음은 믿지만 실제로 돈 앞에서 우정이 멀어지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차용증을 필히 작성하시어 진행하셔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고영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친한 친구더라도 금전 거래를 하실 때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돈을 빌려주었다고 적는 것을 차용증이라고 합니다. 차용증을 쓰시고 변호사사무실에서 공증까지 받는다면 돈을 빌려주셨다는 사실은 법적으로 증명하실 수는 있지만 친구가 돈을 갚지 않았을때 법적 절차를 통해서 회수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압류, 지급명령 등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익있는 재산이 없는 경우에는 회수가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가 부동산이있다면 돈을빌려주는 차용증과 함께 부동산에 저당권을 설정하면 좋지만 비용이 부담될 수도 있습니다.

    차용증과 저당권 설정을 고민해보시고 실제로 빌려주시기 전에는 변호사나 법무사 등 법률 전문가의 상담을 꼭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