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는 친환경이라고 하는데 정말 그런걸까요?
전기차는 배기가스 등을 줄일 수 있어서 흔히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알려져 있는데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희귀 금속 채굴과 탄소 배출이 발생하고 폐기 시에도 환경 오염이 된다고 하죠. 게다가 사용하는 전기를 생산할때도 그렇구요. 그러면 전기차는 정말 친환경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법령에 보면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호 및 제 3호에 따라
전기차는 친환경 자동차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친환경적 이다 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내연 기관차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영향을 줄여준다 라고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차로 구분하고 있지만 아직은 충전 시 사용하는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100%라고 하기 힘듭니다. 앞으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전기차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의 경우에는 재활용센터를 통해 잔존용량 및 데이터 관리를 통해 폐배터리 재사용하거나 부품을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기차는 탈 화석연료로 100% 친환경 자동차로 자리잡기 위해 정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는 운행 중에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같은 배출가스를 전혀 내지 않아, 화석 연료를 태우는 내연기관차가 운행 중 대기오염과 온실가스 배출의 주원인이 되는 것과 비교하면 가장 큰 친환경적 이점입니다.
하지만 질문하신 것처럼, 우려되는 부분도 있는데, 배터리 생산 자체도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탄소를 배출하게 되고, 수명이 다한 폐배터리를 안전하게 처리하지 못한다면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만약 전기를 석탄이나 가스 같은 화석 연료로 주로 생산한다면, 전기차 운행으로 인한 탄소 배출이 발전소로 옮겨가는 것일 뿐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하겠지만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비중이 높아질수록 전기차의 환경적 이점은 극대화됩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전기차는 배터리 생산 및 전력 생산 방식에 따른 환경 영향을 가지고 있지만, 운행 중 배출가스가 없다는 점과 기술 및 에너지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환경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내연기관차보다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대안이라고 평가받고 있지만, 진정한 친환경성이라고 하려면 재생 에너지 기반의 전력 시스템 구축, 효율적인 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확립 등 개선되어야 할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