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 링은 일반 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는데, 어떻게 사용되나요?
일반 상대성 이론이란
기존의 고전적인 뉴튼 역학이
중력을 두 물체사이의 힘으로 본 것과는 달리
질량과 에너지가 시공간을 휘게 만들기 때문에 나나타는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인데요.
아인슈타인 링이란
아주 큰 질량을 가진 천체, 즉 은하나 은하단, 블랙홀 같은 것들이
관측하는 관측자와 멀리 떨어진 배경 천체 사이에 놓이게 된다면
그 큰 질량을 가진 천체의 중력에 의해서
배경 천체의 빛이 휘어지면서
완벽한 원형 고리형태를 보이는 현상입니다.
그렇다면
이 아인슈타인 링이 일반상대성 이론을 검증하는데 사용된다고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사용된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아이슈타인링은 일반상대성이론의 핵심적인 예측중 하나인 중력렌즈효과의 사례이며 일반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큰 천체는 주변의 시고간을 휘게 만들고 그 시공간을 지나가는 빛도 휘게 하는데 이를 중력렌즈효과라고 하지요. 관측자가 거대한 렌즈와 배경의 발광체와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면 빛이 렌즈를 중심으로 동심원처럼 휘어지게 되며 완벽한 원형 고리 모양을 이루게 되는것을 아이슈타인 링이라고 하빈다. 이를 통해 빛의 휨 정도가 이론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증할수 있으며, 중간 렌즈 천체의 질량 분포를 측정할수 있꼬 어두운 물질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검증해 낼 수 있게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