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흑두루미
흑두루미23.05.15

국제 무역시 기준 통화를 달러를 많이 이용하는 이유가 궁굼 합니다

다른 나라와 무역시 통화는 달러를 많이 사용하던데 왜 기준 통화를 달러로 많이 사용하는 건가요?

예를 들어 중국과 무역시 중국의 위안화 또는 우리나라의 원화를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달러가 기축통화로 사용하게 된 것은 과거 금본위제를 통해서 달러의 유통량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미국의 달러가 전세계에 유통량이 많아지면서 기축통화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에 대한 과정은 다음의 순서대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 세계전쟁(1차,2차)을 통해서 미국은 막대한 부를 쌓게 되었고, 전세계 금의 70%를 미국이 차지

    • 미국은 '금본위제도'로서 미국의 달러를 가져오면 언제든 금과 교환할 수 있도록 선언 [브레튼 우즈 체제]

    • 전 세계는 미국이 달러를 언제든 금으로 교환해줄 것이라는 말을 믿고 달러를 통해서 교역 [전 세계로 달러가 퍼지기 시작]

    • 1960년대 미국은 베트남전쟁 참여로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많은 양의 달러를 발행하여 달러의 유통량이 증가

    • 달러 유통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미국 달러에 대한 신뢰성 하락

    • 많은 국가들이 미국에게 달러를 금으로 교환해 요구

    • 미국은 금 보유량이 감소하여 금 교환을 해주지 못하는 상황이 되며 1971년도 8월 브레튼 우즈 체제(금본위제도)를 종료 선언

    • 전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이미 달러를 보유하고 사용하고 있던 상황이고 다른 통화로 대체하기 힘들어 달러를 사용 시작

    • 자연스럽게 달러가 전 세계의 기축통화로 굳어지게 됨

    결론적으로 미국은 전 세계 금 보유량을 통해서 달러를 전 세계에 유통시켰는데 이렇게 유통된 달러가 전 세계의 대부분 국가들이 사용하게 되면서 달러가 자연스럽게 기축통화로 사용된 것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달러의 가치는 전세계가 신용하며 가치의 변동성이 낮고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우리나라 돈은 달러에 비해 변동성이 크고 신뢰가 적기에 무역하는 상대입장에서는 받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굳이 달러가 있는데 우리나라도 위안화를 받고 싶지는 않을 거고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사실상 글로벌 무역 질서 상에서 미국이 경제 패권국으로서, 자국의 통화를 수출입 결제에 이용할 것을 사실상의 룰로 정해버렸고, 이를 어기는 나라에 대해서는 제재를 가하여 경제를 어렵게 함으로써 사실상 달러로 결제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축 통화이기 때문입니다. 세계의 안보와 질서를 지켜주는 대신 달러를 무역에 사용하게 하여 달러의 가치를 높이는 것입니다.

    원화는 세계적인 수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