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하 곤란 환자를 위한 재활 치료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뇌졸중 등으로 삼침 장애를 겪는 환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재활 치료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삼킴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삼킴장애를 갖고있는 환자의 경우 구강운동훈련과 삼킴기술교육, 그리고 감각자극 치료등을 통해서 치료하는경우가 많은데요 구강운동훈련은 혀와 입술의 근육을 강화시켜서 삼킴기능을 개선시키고 삼킴기술 교육은 안전한 식사방법을 가르쳐줄수있습니다 사람마다 개개인의 상태에따라 달라질수있기때문에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뇌졸중 또는 신경계 질환 등으로 인해 삼킴 장애를 겪는 환자들이 있다면,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 폐렴이 발생할 수 있어 삼킴 근육 강화 운동을 해주는 것과 삼킴 반사를 자극하는 방법, 전기 자극을 통한 신경근 활성화 등이 필요합니다.
삼킴 근육 강화 운동으로는 혀와 후두, 식도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혀 근력 운동은 혀를 입천장으로 강하게 눌러서 5~10초 유지하기 혀를 내밀어 위아래, 좌우로 움직이기 등이 있습니다.
후두 운동은 바닥에 누워 머리를 들고 발가락을 바라보면서 5초 ~10초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후두 상승을 촉진해 삼킴 반사를 개선합니다.)
사밈 반사 자극은 차가운 숟가락이나 얼음을 혀 뒤쪽에 대면 삼킴 반사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매일 꾸준히 해주시는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 손상 초기에 삼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삼킴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작업치료사들은 연하치료를 실시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연하곤란 환자를 위한 재활 치료방법은 먼저 삼킴훈련을 통해 환자가 안전하게 음식을 삼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다양한 식이요법을 통해 환자의 삼킴느역에 맞는 음식의 지감과 혈태를 조절합니다 또 구강 운동과 발음 훈련을 통해 근육의 협응력을 향상시킵니다 마지막으로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을 제공해 안전한 식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삼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극이 필요한데요, 칫솔이나 설압자, 막대 손가락등을 이용하여 볼과 입술 혀와 같은 신체부위를 자극하여 삼키는 동작을 자극해야 하겠습니다.
재활 중 식사는 부드러운 음식으로 삼키기 쉬운 음식을 섭취하시는 것이 적절하고, 소량을 자주 섭취하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뇌졸중 및 신경계질환 그리고 근육질환 등으로 인한 삼킴 장애 재활 치료 같은 경우 여러가지 운동방법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혀 근육의 운동 및 후두 올리기 훈련 턱 들어올리기 훈련 그리고 턱 당기기 기법 및 머리 돌리기 기법 냉온 자극법 및 맛과 온도의 변화를 활용한 감각 자극 훈련등 여러가지 훈련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치료 같은 경우 환자분의 상태에 따라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언어 치료도 필요하지만 음식 관련 삼킴 훈련도 중요합니다. 환자가 음식을 삼킬 때의 근육을 훈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턱 운동, 목 근육 강화 운동 등이 있습니다. 또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먹거나 갈아 먹기를 통해 삼킴 시 발생할 수 있는 흡인 위험을 줄이는게 가능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