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영악한코알라273
영악한코알라27322.09.15

잘 때나 가만히 있을 때 다리가 불편해요

나이
2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질문처럼 잘 때 그리고 가민히 있을 때 다리가 아픈건 아닌데 뭔가 그냥 근육이 근질근질 거리는 것처럼 불편해요.

그래서 잘 때도 이 불편감 없애려고 자꾸 움직여요. 약 3개월 이상 지속되고 있고 이 증상 때문에 잠을 편하게 못자요. 제 심리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정말 근육 쪽에 문제가 있는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노진수 의사입니다.

    위 증상때문에 잠도 잘 못주무시고 많이 불편하시겠어요. 하지불안증후군 등을 의심해 볼수 있겠습니다.

    병원진료를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6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잘때 다리에 불편한 느낌 때문에 고민이시군요.

    질문자님의 증상은 하지불안 증후군일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누워 있거나 앉아 있는 등 휴식 중에 다리에 근질거리는 이상 감각과 초조함이 느껴지고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수면 장애까지 초래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는 다리가 근질근질하고 벌레가 기어가는 불쾌한 느낌, 다리가 당기고 쑤시며 저리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져 견디기 힘듭니다. 특히 증상이 밤에 가장 심해져서 수면 장애가 초래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치료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밤에 가끔 나타나는 경증의 경우 약물 치료보다는 비약물 치료를 권합니다. 비약물 치료로는 발/다리 마사지, 족욕, 가벼운 운동 등이 효과적입니다.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수면 장애까지 동반되는 중증의 경우에는 수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 전문적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기본적인 수면 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고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커피, 녹차 등의 카페인 음료를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담배, 술은 하지불안증후군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어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로와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다리가 따뜻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므로 추운 환경은 피하도록 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잘 때 그리고 가민히 있을 때 다리의 불편감이 발생하여 질문하셨습니다.

    해당 증상은 하지불안 증후군이 의심되는 증상입니다.

    가까운 신경과를 방문하여 진단을 받은 후 그에 따르는 치료를 받으시면 비교적 쉽게 호전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잠을 편하게 자기 위해서는 즉시 신경과를 방문해 보시기를 권장합니다.

    참조하시어 위 답변이 다리의 불편감 해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들에는 질문하신 분을 포함한 열람하시는 분들의 좋아요, 추천 버튼 선택을 권장하며

    부족한 답변에는 댓글을 통한 추가적인 소통으로 궁금증을 해소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 아하(Aha)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유지와 선순환에 도움이 되어 더욱 유익한 커뮤니티로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심리적인 문제일수도 있지만 하지불안증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한 하지불안증을 감별하기 위해 가까운 신경과에 내원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하지불안증후군일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해당 증상들이 계속 지속된다면 신경과 진료를 보시고 검사를 통해 상태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시 처방을 받아 도파민등 약 복용이나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