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작은망둥어300
작은망둥어30022.12.14

비가 오면 날씨가 추워지는데 눈이 오면 왜 그만큼 추워지진 않나요?

겨울에 비가 오면 다음날에 날씨가 엄청 추워지던데요...

눈이 오면 그 정도까지 기온이 내려가지는 않는 것 같더라고요.

눈이 오히려 비보다 온도가 낮을텐데 이건 왜 이렇게 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실제로 눈이 오는 날이 추워지지 않고 포근하게 느껴집니다.

    눈은 구름을 이루고 있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져 얼음 알갱이로 변해서 만들어집니다.

    이 얼음 알갱이가 증발해 수증기가 되고, 얼음 알갱이로 다시 뭉치는 과정이 반복되다가,

    어느정도 덩치가 커지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눈입니다.

    기온이나 여러 요인에 의해 이 과정이 얼마나 반복되냐에 따라 눈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물이나 얼음이 수증기가 될 때는 주변의 열을 빼앗아 추워지고,

    반대로 수증기가 물이나 얼음이 되면 열을 방출해 따뜻해 집니다.

    약 1g의 눈은 8kcal 의 열에너지를 발생시킨다고 하니, 실제로 눈이 오면 따뜻해지는 것이 맞습니다.


  • 물은 기체인 수증기, 액체인 물, 고체인 얼음으로 존재합니다. 젖은 옷을 입고 있거나 몸에 묻은 물이 마를 때 한기를 느낀 적 있지요? 샤워하고 금방 나왔을 때 몸이 차가워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물이 증발하면서 체온이 낮아지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물이나 얼음이 수증기가 될 때는 주변의 열을 빼앗아 가고, 반대로 수증기가 물이나 얼음이 될 때는 열을 방출합니다. 이 열을 승화열이라고 하는데 이 승화열 때문에 상대적으로 날씨가 따뜻해지는 것입니다. 1g의 눈이 만들어질 때 8㎉의 열에너지가 발생한다고 하니 눈이 많이 내리는 날은 확실히 따뜻할 것 같습니다.

    에스키모인들은 이글루에 일부러 물을 뿌리기도 합니다. 물을 뿌린 뒤 발생하는 승화열로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요. 이글루를 만드는 얼음도 아직 공기를 많이 품고 있는 녹지 않은 눈으로 만드는데 이는 공기들이 내부의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일부러 입구를 좁게 만드는 것도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는 눈이 오늘 날이 더 춥습니다. 바람이 안불어서 체감추위가 높기 때문에 그렇게 느꼈을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눈이 오는 조건이 비가 오는 조건보다 더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