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23.08.22

동방 정교회의 형식과 교리를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동방 정교회는 가톨릭과 마찬가지로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고, 종교다원주의 모임 WCC에도 참여한다고 합니다. 동방 정교회의 형식과 교리를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리스도교가 콘스탄티누스 로마 황제로부터 공인(AD 313)되기 이전부터 보급되어 있던 종파로 그리스, 러시아, 동유럽 등의 지역에서 사도 시대(예수 탄생 후인 AD 30년경)부터 발전한 그리스도교회의 총칭이다. '그리스정교회' 또는 '동방정교회'라고도 한다. Orthodox는 그리스어에서 '진리 또는 올바름'이라는 뜻의 orthos와 '믿음'이라는 뜻의 doxa가 합쳐져 만들어진 것이다.


    313년 로마제국에서 그리스도교가 콘스탄티누스대제(1세)에 의해 공인되었을 때, 그리스도교가 보급된 지역은 대부분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로마교구만은 문화적으로 뒤져 있었고 로마의 총대주교는 다른 총대주교들에 비해 종교적 권위뿐만 아니라 정치적 권위까지도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교황이라는 이름을 스스로 붙였다.


    결국 동서 양 교회 간에는 정치적으로 틈이 생겼는데, 교황 레오 3세에 의한 프랑크국왕 카롤루스대제의 대관은 로마황제권에 대한 반역이라고도 할 만한 사건이었다. 콘스탄티노플에서는 포티오스(Photios)라는 인물이 일개 외교관에서 단번에 총대주교로 뽑혀 교황 니콜라오 1세가 반발하고 나섰다. 또 교리상의 다툼도 있었다. 성령의 발출(發出)을 둘러싸고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信經)>의 '성령께서는 성부에게서 발하시고'에 로마 측이 '성자에게서 발하시고'를 첨가한 사실에 대해 동방이 비난하였다. 또 독신 성직자만 성직자로 허용하는 것과 누룩을 넣지 않는 빵을 성체(聖體)로서 사용하는 로마 측의 관행에 대해서도 동방이 반대하였다. 즉, 동방정교는 결혼한 사람도 성직자가 되는 것을 허용했으며, 로마교황을 다른 주교들보다 높은 위치와 권력을 가진 이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대립 속에서 1054년 결국 고대교회는 동서로 분열하여, 예루살렘,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콘스탄티노플을 배경으로 한 정교회와 로마를 배경으로 한 로마가톨릭교회로 분리되었다. 제4회 십자군의 서유럽 병사가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했기 때문에 서방 그리스도교가 비잔티움 제국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게 되어, 양 교회의 대립은 한층 깊어졌다. 1453년 콘스탄티노플은 오스만제국에 의해 멸망했고,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하의 동방정교회는 19세기 중엽에 그리스가 터키로부터 독립하기까지 약 350년 동안 터키의 지배를 받게 됐다. 이리하여 비잔티움 제국이 터키의 지배하에 있었던 동안은 러시아가 그 대신 정교의 대(大)보호국이 되었다. 로마를 배경으로 한 서방 교회는 1517년 루터에 의한 종교개혁으로 다시 두 개의 분파로 나뉘어 현재의 로마가톨릭교회와 개신교(프로테스탄트)가 탄생하였다.


    동방정교회는 콘스탄티노플·안티오키아·알렉산드리아·예루살렘·불가리아·러시아·조지아·세르비아·루마니아·그리스·키프로스·알바니아·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일본 등에 자립교회를 두고 있다. 정교회 신도들은 성탄절보다는 부활절을 중시하며, 초대 교회의 전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 정교회가 전파된 것은 1900년 러시아인 흐리산토스 세헷콥스키 신부가 들어와, 1903년 서울에 성 니콜라스 성당을 세워 선교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