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도 소방관이 있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조선시대에도 불은 났을거 같은데
당시에 불이나면 불은 끄는 현대의 소방관같은 전문적인 직업이 존재 하였나요?
어떤식으로 불을 껐나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소방관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주로 군인, 관원, 마을 주민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출동하여 진화 작업을 수행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방서와 소방관이 있었으며
조선 전기에 한양을 건설하고 나서 화재가 잦자 1426년
일종의 소방서인 금화도감을 설치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도 소방관 같은 직업이 바로 멸화군 인데 이것은 1426년 2월 15일, 세종 8년에 발생한 한양 대화재 를 계기로 같은 해 2월 26일 금화도감이 창설 되었으며, 곧 수성금화도감으로 개편되었다고 합니다. 1431년 5월, 금화군을 창설하고 화재 발생시 행동수칙을 정하였는데 수성금화도감은 이후 개편을 거듭하다 1460년 한성부 소속으로 편입되어 혁파되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소방관은 법전인 경국대 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책에는 ‘금화’로 명시되어있으며 세종 8년(1426) 2월, 병조 아래 소방관아인 '금화도감'을 설치했고 이를 풀이 하면 ‘불을 금지하는 비상기구'로, 현재의 소방서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첫 소방관의 탄생은 이렇게 시작됐으며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금화도감'은 한성부 대 화재를 계기로 설치됐고 여기에 소속된 '금화군 (불을 막는 군대)'은 불이 났을 때 물을 긷고 나르는 일을 했으며 세조 대에 이르러 '멸화군(불 을 전멸시키는 군인)'으로 발전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첫 전문 소방대원이었으며 멸화군은 24시간 대기하면서 불이 나면 쇠갈고리와 밧줄 등을 들고 현장으로 출동해 불을 끄는 일을 맡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