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병좌상과 관련하여 질문드려요
발해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다가 질문드려요. 이불병좌상이 법화사상의 유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통일신라시대의 황룡사지 출토 금동이불병좌상과 대전사지 출토의 청동이불병좌상, 고려시대의 괴산 마애이불병좌상 과 같은 몇 예가 남아있고 유독 발해에서 동경용원부 유지에서만 8구 이상 출토된 것은 이 지역의 불교 사상적 특색이 불상 조성에 영향을 끼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불병좌상> 중국집에선 훈춘현 반라성지에서 출통도니 발해시대의 불상입니다.
발해의 동경 용원부 유지에서 발견된 이 불상은 현재 남아있는 발해 이불병좌상 중에서 그 형태가 완전한 상 입니다,’
제작시기는 반라성지 동굴 당시의 동반유물과 고구려 영향이 발해에서 상당히 오랫동안 유지된 점 그리고 발해 조각 특유의 보수성이 법화사상의 유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법화사상(法華思想) 이라고 하는 것은 『법화경』을 근본으로 삼아 삼제원융과 삼천실상의 이론과 일심삼관과 일념삼천의 실천법을 제시한 불교교리 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 비해 이불병좌상이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통일신라와 고려의 유물들 중 몇 점이 보이긴 하지만, 하나의 문화로 유행했다기에는 부족한 모습이였는데 법화사상 자체는 큰 영향을 주었기에 사찰 동서쪽에 탑 하나씩을 세우는 이불병좌 양식(석가탑과 다보탑이 대표적)이 유행하기는 했습니다.
특이하게도 이불 병좌상 유물을 가장 많이 남긴 나라는 발해입니다. 발해 문화는 위 글에서도 언급 되었듯이 다른 나라들과 비슷하면서도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구려부터 당, 말갈, 신라 등 여러 나라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 인데요 불상에 있어서도 이런 점이 여실히 드러나는데, 점토와 흙을 구워서 만든 '전불'과 10cm 내외의 소형 불상, 그리고 오늘의 주인공인 이불병좌상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