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맛있는 녀석들과 함께
맛있는 녀석들과 함께 22.09.12

건강검진시 용종 확인될 경우 어떻게 치료하나요?

나이
31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건강검진시 용종 확인될 경우 어떻게 치료하나요?

작년 건강검진시 초음파 검사할때 갑상선에 용종이 발견됬는데

6개월 후 재검을 하자는 소견이 나왔습니다.

이번에도 재검을 해서 만약 커진다면 조직검사를 해야하는걸까요..?

조직검사는 수술을 해야지만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보통 용종이 확인되면 바로 조직검사 겸 제거를 합니다.

    조직검사는 조직의 일부를 떼어내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크기 변화가 있다면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해당 혹이 기능을 가진 것인지 구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조직검사 후에 악성으로 판명날 경우 수술을 진행합니다.


  • 갑상선에서 용종이 발생하였다고 하여서 바로 다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말씀하신 것처럼 6개월 간격을 두고 추적 관찰을 하며, 추적 관찰을 하였을 때에 딱히 크기의 변화가 없다면 악성의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계속 추적 관찰 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진다면 조직 검사를 통해서 악성 여부를 진단해 보아야 합니다. 조직검사를 위해서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미세 침 흡입술 등의 방법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진수 의사입니다.

    갑상선 초음파에서 결절이 발견되셨나봐요? 우선 초음파로 모양, 성상, 크기 등을 확인하고

    악성이 의심되면 추가검사를 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갑상선 용종의 경우, 크기나 악성 정도에 따라 치료가 다르지만 대부분 암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지 않아 정기적 으로 경과를 지켜보게 됩니다. 갑상선 용종은 갑상선 과 함께 제거되어 추후 갑상선 호르몬을 지속적으로 복용이 필요하여 이보다는 커지지 않는 경우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저번 건강검진에서 갑상선에서 결절등의 이상소견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결절이 있을경우 그 모양등에 따라 위험도가 구분되며 6개월 후에 추적 관찰을 하는 것으로 보아 그 모양의 재확인과 더불어 크기등을 변화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조직검사는 미세바늘흡인검사로도 가능합니다. 이후 조직검사가 악성이 의심될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치료 및 병리학적인 조직검사를 통해 최종적인 진단이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