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TF가 미국 거 보다 좋은 게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제는 정말 국내 주식 시장이 대 폭락을 맞았는데요. 저는 국내 ETF에 투자 중인데 정말 멘붕이 왔습니다. 국장의 회의감이 드는데 국내 ETF가 미국 거 보다 좋은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국내 증시의 급락은 많은 투자자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국내 ETF에 투자하고 있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깊은 회의감과 멘붕을 경험했을 것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 국내ETF가 과연 미국 ETF보다 나은 점이 있는가? " 라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
아래는 국내ETF가 미국ETF보다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몇 가지 요소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 환율 리스크가 없다는 점입니다.
미국ETF에 투자할 경우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야 하며 , 이후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까지 감안해야 합니다.
이는 주가 수익과 무관하게 투자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반면 국내ETF는 원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환헤지 없이도 단순한 주가 수익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둘째 , 세금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미국ETF의 경우 매도 시 양도소득세(기본공제 250만 원 후 22%) 가 부과되며 , 배당 소득도 미국에서 15% 원천징수됩니다.
반면 국내ETF는 국내 주식형ETF에 한해 매매차익에 세금이 붙지 않고 , 분배금에 대해서만 15.4%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복리효과를 고려할 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차이입니다.
셋째 , 거래 접근성과 편의성이 높습니다.
미국ETF는 밤에 거래해야 하고 , 정보도 영어 기반 자료가 대부분입니다.
반면 국내ETF는 장중에 실시간으로 거래 가능하며 , 정보 탐색도 수월합니다.
이는 특히 장기 투자자뿐만 아니라 단기 트레이더에게도 장점입니다.
넷째 , 특화된 테마 및 시장 접근성입니다.
국내ETF는 한국 시장 특성에 맞춘 테마 ETF , 예컨대 K-콘텐츠 , 반도체 , 2차전지 , 리츠 등 다양한 상품군이 빠르게 출시되고 있어 , 특정 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싶은 국내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물론 변동성이 큰 국장의 특성과 낮은 성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환리스크 회피 , 세제 혜택 , 높은 접근성과 정보 접근성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 국내ETF는 여전히 유의미한 투자수단이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ETF로 투자를 하게 되면 수익에 대한 과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미국 ETF는 1년에 250만원 초과한 수익에 대해서 22%의 양도소득세를 물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주식을 그럼에도 투자하지 않는 이유는 미국에 세금을 내는 것이 더 수익이
크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식으로 부자가 된 사람은 드물지만 부동산으로 자산을 일군 사람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 상장된 S&P500 지수 ETF와 미국에 상장된 S&P500 지수 ETF와의 분배금 차이는 거의 없어서 환손실을 안봐도 되고, 또한 한국 사람 입장에서는 낮에 거래할 수 있는 한국상장 ETF가 더 편리한 게 객관적인 사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ETF가 미국 ETF 보다 좋은 점이 무엇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국내 ETF는 양도 소득세가 발생하지 않고
환율의 영향에서 벗어나 있는 점는 장점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ETF의 경우 배당소득세가 15.4%로 미국 ETF 22% 분리과세보다 유리하며 양도소득세 비과세, 환헤지 옵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