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토양2
토양223.06.21

인간 수명은 몇세까지 늘어날수 있을까요?

현재는 100세에서 120세인것 같은데 기술이 발전하면서 질병도 치료가 잘 되고 노화도 늦추면서

수명이 계속 늘어날 것 같은데 몇세까지 늘어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하는 호동왕자입니다.

    수명이 늘어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몇살까지 정상적인 육체활동을 할 수 있느냐가 아닐까요?


  • 안녕하세요. 할수있다는자신감을가져보자입니다.

    말이 100세지 실제적으로 90세정도만되어도 오래사는겁니다.

    그만큼 살수있는 환경이 먼저 만들어져야하는데 그건 불가능하지 싶어요 의학기술은 그다음 문제인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뉴아트입니다.

    100세 시대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100세까지 사는 사람은 드문 케이스입니다

    현대 의학과 과학기술로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또한 제대로 거동도 못하면서 나이만 100세인 분들이 더 많은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수명만 늘었지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 수명은 그보다 낮은게 팩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솔직히 말씀드리면 개인적으로 저는 인간의 수명이 더이상 늘어나면 안된다고 봅니다

    점점 고령화 시대가 되어 가는데 고령화 시대에 맞는 정책이나 시설은 턱없이 부족합니다

    고령화 시대에 맞는 제대로 된 정책, 시설이 갖추어진다고 해도 수명은 100세 미만이 가장 적당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활달한거북이38입니다.

    인간의 수명에 대한 생각은 각각의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인간의 수명은 한정적이며, 일반적으로 약 70세에서 90세 사이의 기대 수명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명은 개인의 유전적 요소, 건강 상태, 생활 방식, 환경 요인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

    경험과 지식의 축적: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경험을 쌓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수명은 더 많은 경험과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개인의 지성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인간 관계의 형성: 긴 수명은 가족, 친구, 동료 등과 더 오래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깊은 인간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목표 달성과 성취: 더 긴 수명은 개인이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개인은 더 많은 성취를 경험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단점:

    건강 문제: 더 오래 살기 위해서는 건강 상태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늙음과 함께 질병, 신체적 노화, 만성 질환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문제: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으로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 구조와 사회적 지지 체계가 변화하면서 노인들이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경험할 수도 있습니다.

    자원 부족 문제: 인간 수명이 길어지면서 자원의 소모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의료, 식량, 에너지 등과 같은 자원의 공급과 관리에 대한 도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할 때, 인간의 수명은 개인과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