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루하루
하루하루
23.02.20

소라는 자기껍질을 어떻게 만드나?

소라의 단단한 등껍질은 악기로도 사용되고 히말라야의 티벳트인들도 악기로 만들어 사용했다고 하는데 소라는 이단단한 등껍질을 어떻게 만드나?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아름드리
    아름드리
    23.02.20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는 콘친이라고 불리는 단백질 기반의 물질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것이 소라껍질의 뼈대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뼈대 위에 탄산칼슘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것은 껍질의 단단한 외층을 형성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라는 자기껍질을 만들기 위해 몸 안쪽에 있는 대피갑(calyx)이라는 기생충이 살아있는 작은 동물입니다. 대피갑은 소라의 몸 안쪽에서 껍질을 만들어 주는데, 껍질은 칼슘 카보네이트와 물질로 구성됩니다.

    소라는 몸 안쪽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껍질을 만들어 나갑니다. 이 과정에서 칼슘과 탄산 이온이 결합하여 칼슘 카보네이트가 생성되고, 이것이 계속적으로 쌓여서 껍질이 형성됩니다.

    소라는 몸 안쪽에 있는 대피갑이 껍질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므로, 대피갑이 없는 소라는 껍질을 형성할 수 없습니다. 또한, 껍질은 소라의 몸 크기와 성장 속도, 생활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라는 껍데기의 가장자리에 지속적으로 석회질을 덧데어 점점 커지게 됩니다.

    소라껍데기가 나선형인 이유도 이때문인데요, 일직선으로 커지면 껍데기가 계속 길어지지만 나선형으로 붙여가면 방어에도 유리하고 그 크기 또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