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시경제) 공급탄력성 결정요인 관련 질문
"공급의 탄력성에 상품의 저장가능성과 저장에 드는 비용도 관련이 있는데, 채소나 생선과 같이 저장이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드는 상품일 수록 탄력성이 낮아지게 된다."라는 개념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설명해주실 때 반대 사례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급의 탄력성이란 가격 변동에 대한 수요나 공급의 반응 정도를 의미합니다. 채소나 생선과 같이 저장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상품은 생산량이나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저장이 어려운 제품은 생산량을 조절하기 어렵고,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나 공급 조절이 어려워 탄력성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품은 저장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이나 의류와 같이 저장이 쉽고 비용이 적게 드는 상품은 가격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탄력성이 높아집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유가 맞을지 모르겠으나 쉽게 설명해본다고 하면 채소나 생선과 같이 저장이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드는 상품은 저장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공급의 탄력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왜냐하면 가격이 오르거나 수요가 증가해도 해당 상품을 즉시 공급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변동에 대한 공급량의 반응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품은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쉽게 공급량을 늘리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의 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