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저축은행 손실과 연체율 증가가 저축은행 위기로 퍼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경제 기사를 보는데 저축은행 업계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연체율도 9년만에 최고라고 하는데 저축은행 손실과 연체율 증가가 저축은행 위기로 퍼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 업계의 손실과 연체율 증가가 지속되면, 업계 전체에 신뢰 문제가 발생하고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저축은행들이 정부의 규제와 감독을 받으며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위기로 확대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다만, 연체율이 계속해서 높아지면 추가적인 손실과 자본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이나 합병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저축은행 전체는 아니겠지만 일부 부실율이 높고 pf대출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은 위기가 찾아올 수 있습니다

    • 그 이유는 저축은행은 과거에도 pf대출로 부실 발생과 함께 많은 저축은행들이 사라졌던 사례가 있습니다.

    • 이번에는 물론 대비를 하고 있지만 연체율이 다시 상승하고 있다는 부분은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다만 뱅크런까지만 가지 않는다면 저축은행이 완전히 망해서 사라지진 않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이 본격 위기로 퍼질 가능성은 높습니다 다만 현재 카드연체율이 사상최대인만큼 민간부분의 연체대출권 문제도 크긴 하지만 가장 큰 부분은 부동산 PF입니다 현재 중견건설사 중소형건설사 파산도 미분양과 이문제이고 이런 브릿지론의 핵심은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인만큼 향후 이 부분으로 인한 신용경색위기가 상존해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저축은행 손실과 연체율이 증가 되는 것이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분명 은행의 손실과 연체율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대처가 없다면

    위기로 퍼질 가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은행에서 제대로 대응을 하면 그 위기의 가능성은 낮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의 연체율 증가는 건전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저축은행 위기로 번질 수 있습니다. 일부 저축은행이 아닌 저축은행 전체 시장에 대한 위기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은행의 대출이 줄어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의 손실 및 연체율 증가는 충분히 저축은행 존립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지금 수준으로는 위기까지 갈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