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서 메인넷이란 무엇인가요?
암호화폐에서 일반적으로 토큰과 코인이란 용어들이 나오는데 어떻게 구분하고 메인넷이란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암호화폐에서 메인넷이란 무엇인가요?라고 문의하셨는데요. - 코인은 스마트폰으로 보면 OS(안드로이드,ios)에 해당이 됩니다. - 토큰은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앱을 말합니다. 카카오톡,스마트폰 게임등은 토큰에 해당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원래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 코인: 토큰보다 상위개념이고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통해서 거래되는 가상화폐를 말합니다. - 토큰: 자체적인 알고리즘이 없고 상위코인에 있는 가상화폐의 알고리즘에 태어난 가상화폐를 말합니다. - 자체 블럭체인을 가지고 있으면 코인 남의 블럭체인을 차용하고 있으면 토큰 - 메인넷을 한것은 코인 메인넷을 하지 않은 것은 토큰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 그래서 토큰은 메인넷이라는것을 하는데요. - 메인넷을 하는 이유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운영을 통해 디지털 화폐 생성뿐 아니라 다른 디앱(Dapp)을 탄생하게 하는 기반을 제공해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메인넷을 한다는것 기술력이 있다는것을 보여준다고도 볼수 있습니다. - 메인넷을 하면 그에대한 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 메인넷을 한다는건 독자적인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의미입니다. - 독자적인 메인넷안에 다양한 디앱을 생성할수가 있습니다. - 그리고 디앱들이 ico를 진행을 한다면 메인넷 코인으로 ico를 진행합니다. - 거래소에서 해당 메인넷이 기축통화로 사용됩니다.이더리움마켓,이오스마켓을 예로 보실수 있습니다. - 참고로 메인넷을 하였다고 비트코인의 가격 영향을 받지 않는건 아닙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코인과 토큰 그리고 메인넷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코인이란? -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에서 활용목적으로 발행되는 암호화폐(코인)를 말합니다. 
 
 - 토큰이란? -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운영하지 않고 타 블록체인 기술에 의존하여 서비스하는 토큰 입니다. 
-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댑(DApp:탈중앙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의도가 있다면 토큰으로서 일반유저들에게 서비스하게 됩니다. 
 
 - 토큰과 코인의 차이점 - 참고로 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지해서 발행할 경우 토큰이라고 불리며, 만약 해당토큰이 자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를 구성하게되면 코인으로 승격하게 됩니다. - ex) 토큰 → 스냅샷(수량파악) → 메인넷으로 스왑(교환) → 코인 
- 토큰은 별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이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컨트랙트(암화화폐 관리 기술)만 있으면 됩니다. 
 
 - 메인넷(Mainnet)이란? - 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지하지 않고 독자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직접 구성/운영하는것을 말합니다. 
- 자체적인 블록생성을 위한 노드(BP)선발과 고유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술구현 등이 필요합니다. 
 
 - 따라서 자체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의도가 있다면 토큰에서 코인으로의 전환을 할것이고, 자체적인 자금력과 기술력이 충분하다면 처음부터 토큰을 거치지 않고 바로 메인넷을 통해 코인을 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와의 관계> - 암호화폐는 원래 블록체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암호화폐=돈", "블록체인=기술"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이 암호화폐 자체는 사실 아무런 가치가 없는 단순 데이터일 뿐인데요. 암호화폐의 가치를 부여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입니다. 
- 4차혁명이라 하는 인공지능, 5G, 자율주행차, 드론 등도 실생활과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 수 있게 되면 자연스럽게 해당 기술의 가치가 올라가고 그 에 따라 기술은 돈이 될 수 있는 관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는 대가로 지불되는 화폐를 말합니다. 블록체인에서는 공개적으로 사용되는 "퍼블릭 체인"과 폐쇄성이 강한 "프라이빗 체인"이 있습니다. 
- 퍼블릭체인 같은 경우 아하를 비롯하여 블록체인 기반 게임 및 SNS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만큼 암호화폐를 받게 됩니다. 즉 사람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만큼 대가를 받는 방식입니다. 
- 그러나 프라이빗 체인은 보통 중앙화된 시스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나 어떤 기업 내부에 사용되는 업무를 위한 체인을 운영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 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대가지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블록체인 시스템과 암호화폐를 분리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됩니다. 
 - <블록체인의 장점> - 보안성 : 거래내역을 분산 보관 및 검증을 여러곳과 비교하여 확인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습니다. 
- 신뢰성 : 거래내역을 어려곳과 비교하여 확인하기 때문에 내용 조작이 힘들게 됩니다. 
- 편의성 : 공공기관이나 은행 같은 3자의 개입이 없이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 감사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