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득 궁금해 지는데 콜라로 불을끄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영상을 보다보니 집에 불이 났을때 소화기가 없으면 콜라를 부어서 끄는 영상이 있던데 이렇게 콜라로 불을 끄는 현상은 어떤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를 부을 경우 해당 부분에 콜라의 이산화탄소 등에 의해서 산소가 없어져 연소가 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로 불을 끄는 이유는 먼저 액체가 불을 끄는 역할을하며 콜라내에있는 이산화탄소로 연소하지 못하도록 만드는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로 불을 끄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콜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불꽃 주변의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막습니다. 둘째, 콜라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여 불꽃의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냅니다.
하지만 콜라가 모든 종류의 불을 끌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기름이나 가솔린과 같은 유류 화재에는 오히려 위험할 수 있습니다. 콜라에 포함된 설탕이 유류 화재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콜라로 불을 끄는 것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주변에 소화기가 없는 경우, 작은 종이 조각이나 천에 콜라를 적셔 불꽃을 덮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불이 일어날때는 온도와 가연물 그리고 산소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콜라를 세게 흔들어서 불에 뿌리면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병밖으로 뿜어져 나오면서 산소와의 만남을 차단하면서 연소작용을 억제하면서 불을 끄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의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불을 소화시키는 소화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뭇가지를 쌓아 불에 향해 콜라병을 세게 흔들면 내부 이산화탄소 용해도가 낮아져 병 속 압력이 높아지므로 분사하게 되면서 불이 꺼지는 것입니다.
콜라의 주 성분은 물이지만 설탕이나 다른 성분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고 이들은 불에 탈 수 있기때문에 콜라로 불을 끄는 행위는 안전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