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에서 철강 보호 무역 강화 발표를 했는데 우리나라의 영향도는 어느정도인가요?
최근 유럽연합에서 철강 제품에 대한 무관세 쿼터를 축소하고 품목관세를 25%에서 50%를 올리겠다고하던데요 우리나라의 정부 경제적인 대책이 수립되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에서 밝히기를 EU가 국가별 물량 배분 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 대해서는 이를 고려하겠다고 명시적으로 밝힌 만큼 EU와의 다양한 공식·비공식 협의 채널을 통해 국내 철강 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한·EU FTA에 따른 적절한 채널을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또 이달 중 관세 부처 합동으로 '철강 산업 고도화 방안'을 발표하고, 철강업계와 긴밀한 소통을 통해 주요국 통상장벽 강화에 총력 대응하고, 철강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U의 철강에 대한 관세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EU는 미국 시장 이상 한국이 철강을 많이 수출하는 지역이기에
한국 철강 기업들에게는 어느 정도 문제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EU의 철강 관세 인상은 한국 수출업체의 가격 경쟁력에 부담을 줍니다. 특히 자동차, 조선용 강재 수출이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정부는 FTA 조항 활용 및 우회 수출 전략으로 대응책을 모색 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철강산업을 보호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오는 상황입니다
그 이유는 엔저가 다시 시작되면 우리나라 철강업의 경쟁력이 하락하게 됩니다
결국에 우리나라가 해야할 보호무역을 유럽이 먼저 했다고 볼 수 있고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대책이 없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연합에서 관세를 인상하는 조치를 취하는 경우 우리나라의 철강산업은 수출의 타격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는 무역 정책의 다변화와 함께 공급망의 강화 등을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연합의 철강 무관세 쿼터 47% 축소 및 초과분 관세 50% 인상 조치는 한국 철강 산업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EU는 작년 기준 한국의 최대 또는 2위 철강 수출 시장이었기 때문에, 쿼터 감소는 수출 물량 급감과 수익성 악화를 초래할 것입니다. 특히 국내 철강업계는 이미 미국의 고율관세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 이중고에 놓이게 되며, 이는 자동차 강판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도 악영향을 줍니다. 정부는 이에 대해 총력 대응 방침을 밝혔고, EU가 조치를 확정하기 전까지 WTO 제소 및 양자 협의 등을 통해 한국의 FTA 체결국 지위를 활용하여 쿼터 재확보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유럽 쪽 보호무역 강화는 우리나라 철강업계에도 꽤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보기에 한국산 철강의 대EU 수출 비중이 약 10퍼센트 수준이라 직접적인 타격이 아주 크진 않지만, 가격 경쟁력은 확실히 떨어질 겁니다. 특히 자동차용 강판이나 스테인리스처럼 유럽 수요가 꾸준했던 품목은 수익성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 정부는 현재 산업부 중심으로 EU 통상 대응팀을 가동 중이고, 수출 다변화랑 현지 법인 확대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