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푸르르름
푸르르름23.08.21

임진왜란 당시 항왜의 규모는 어느정도 였을까요?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종료 후에도


조선에 남아 복무한 항왜 부대가 있었다고 하는데


이 항왜 부대의 규모와 조선은 어떻게 이들을 운용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러 이유로 전쟁 초기부터 불만을 품은 일본군 병사들이 조선에 귀순하거나 투항하는 일이 많이 발생, 이때문에 일본군 무사들이 탈영을 막기 위해 본진에 목책을 설치하기도 했고 당시 투항한 항왜들 중 일반 병사와 무사, 김충선이나 여여문 등의 장교급들도있었습니다.

    조선 조정은 전쟁 초기에 포로로 잡히거나 귀순한 일본군을 처형했으나 이들이 전투에 도움이 된다는 걸 알고 이들을 적극 활용했습니다.

    이후로 항왜들의 수가 증가하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 수가 1만이 넘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각지에서 포로로 잡힌 일본군과 일본군 투항자가 급증해 조서 조정이 이를 효율적으로 분산 배치하려 머리를 싸맬정도였고 임진왜란이 끝난지 30년 가까이 지난 이괄의 난 때도 100명이 넘는 항왜를 동원한 것으로 보아 최소 수천명의 항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들은 일본군의 전술과 조직에 해박하고 총포술, 전쟁 경험이 풍부해 일본군을 무찌르는데 큰 힘이 되었고 오랜 평화로 군사력이 약화되어 당시 전투 기술이 열악했던 조선군에 총포술과 검술 등을 퍼뜨리는데 큰 공을 세워 좋은 대우를 받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따르면 항왜의 숫자는 1만이 넘을정도였다고합니다.

    이들은 각종 군사지식에 해박하여 일본인들의 전략전술을 알려주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조 실록에 따르면 무려 1만여 명의 일본군이 조선에 투항을 해왔다고 하는데 그러나 확인되지 않은 수까지 합치면 항왜의 수는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임진왜란 전후로 조총술을 조선군에 전파하고 전장에서도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앞장서 조선국왕으로부터 성과 이름을 받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김충선(金忠善 일본명 사야가沙也可)이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