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머쓱한호박벌232
머쓱한호박벌23223.06.02

행성과 항성의차이는 무엇인지요?

행성과 항성 발음도 비슷해서 같은 것 같기도 하는데 다른 의미인 것 같습니다. 빛을 내고 안내고 또 공전을 하고 안하고 차이 등이 있다는데 자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대표적인 항성이며 태양은 열융합을 통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는 못하지만 태양같은 항상의 빛을 반사시켜 빛을 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과 항성의 가장 큰 차이는 스스러 빛을 낼 수 있는가 입니다

    태양계에서 항성은 태양뿐이며 나머지는 다 행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은 핵융합반응을 하지않으며 암석이나 다양한 기체로 이루어진 천체를 말합니다 항성은 핵융합반응을 하여 스스로 빛을 낼수있는 천체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항성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머물지 않으며 항성의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이 둘의 가장 큰 차이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가입니다.

    하지만, 항성도 공전은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태양도 항성이며 태양도 우리은하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즉, 공전 여부는 항성과 행성의 차이라 말하기엔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행성은 태양 또는 다른 별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입니다. 행성은 자신의 주위를 돌면서 태양 또는 별에서 받은 별빛을 반사하여 밝게 보이는 천체입니다. 행성은 질량이 충분히 크고 중력으로 인해 둥글게 형성되며, 주로 암석과 가스로 구성됩니다.

    항성은 태양과 같은 별을 말합니다. 항성은 무수한 수소와 헬륨 등의 가스로 구성된 대량의 천체입니다. 항성은 중력에 의해 압축되어 중심에서 충분한 압력과 온도를 만들어 핵융합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열과 에너지를 방출하며 빛을 발산하는데, 이 빛으로 인해 항성은 우리에게 별이라고 보입니다. 항성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는 천체이며, 행성과 달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분자운이나 성운 등의 대규모 가스와 먼지의 중력붕괴로 형성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행성과 항성은 비슷한 발음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갖습니다. 아래에 각각의 개념과 그들 간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행성(Planet): 행성은 태양계의 주변을 돌고 있는 천체로, 직접적인 빛을 내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반사하여 보이는 것입니다. 행성은 다른 천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태양 주위를 타원형 궤도로 돌아다니며 중력에 의해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행성은 일반적으로 내부에서는 암석이나 금속로 이루어진 암체(core)와 바깥쪽에서는 기체로 이루어진 대기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행성은 태양계의 구성원이며, 지구, 화성, 금성, 목성, 토성 등이 대표적인 행성입니다.

    2. 항성(Stellar): 항성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천체로, 태양과 비슷한 구조와 과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성은 장대한 압력과 온도에서 수소 핵융합이 발생하여 열과 광학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핵융합 반응은 핵심(core) 영역에서 일어나며, 핵융합으로 생성된 에너지는 항성의 표면으로 전파되어 빛을 내게 됩니다. 항성은 중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형성되며, 대표적인 예로는 태양이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 발광원: 행성은 직접적으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의 빛을 반사하여 보입니다. 반면에 항성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 천체입니다.

    • 크기와 질량: 일반적으로 항성은 행성보다 크고 질량이 더 큽니다. 항성은 중력으로 인해 충분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여 핵융합 반응이 일어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2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다면 행성 스스로 빛을 낸다면 항성입니다.

    항성이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것은

    핵융합작용이 일어났기 때문인데, 이런 핵융합이일어나기 위해서는 질량과 중력이 강해야 합니다.

    태양처럼 수소, 헬륨 가스로 된 목성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것은 질량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합니다.

    반면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지만, 항성 주위를 공전하면서 빛을 반사하기에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