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7.06

조선시대 화가 김득신은 작품을 통해 어떤 점들을 표현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조선시대에 여러 뛰어나고 감각적인 훌륭한 화가분들이 많은것을 알고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김홍도, 신윤복이 있는데요. 그 이외에도 학교 교과서에 무조건 등장하는 김득신 이라는 화가입니다.

이 화가는 본인의 작품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싶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득신의 회화는 크게 김응환의 영향을 받은 작품과 김홍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작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중 김응환의 영향은 전기 작품과 산수화에서 두드러지고, 후기 작품과 풍속 · 영모화에서는 김홍도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는 대표적인 풍속화가로 알려져 있으나 산수 · 도석인물 · 화조 · 영모 · 어해 · 장식화 등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였다. 홍월헌(弘月軒)이라는 호가 적힌 <농촌>과 <놀란 물새>는 초기회화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간략한 산수를 배경으로 각각 시골의 아낙네와 말을 탄 선비를 그렸는데, 소재에서는 김홍도와 유사하나 물기 많은 먹을 사용한 바위표현은 가풍(家風)인 김응환의 영향이다.


    이후 김홍도 화풍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회화세계를 개척하였다. 대표작인 《긍재전신첩(兢齋傳神帖)》은 《단원풍속화첩(檀園風俗畵帖)》의 형식으로, 윤두서 · 조영석 · 김홍도가 그렸던 소재를 새롭게 번안하는 한편 새로운 제재와 표현방식으로 자신의 개성을 표출하였다.


    예를 들어 <짚신삼기>는 전통적인 산수를 배경으로 한 윤두서와 달리 현실감이 물씬 풍기는, 호박 덩굴이 늘어진 사립문과 논을 배경으로, 짚신을 삼는 농부와 이를 바라보는 가족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김홍도에 비해 훨씬 더 부드럽고 율동감이 느껴지는 필선에, 웃통을 벗은 인물과 혀를 내밀고 헐떡이는 개는 한여름의 무더위까지 전해준다.


    김홍도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대장간>에서도 배경을 적절히 활용하여 현실감을 부여한 김득신의 특징이 잘 드러난다.

    <투전>과 <파적(破寂)>은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소재로서, 김득신의 역량이 가장 잘 발휘된 작품이다.


    <투전>은 인물의 표정과 자세로 노름판의 긴장된 분위기를 전달하고 있는데, 특히 오른쪽 위 인물은 초상화의 훈염법(暈染法) 같은 입체적인 표현이 사용되어 눈길을 끈다.


    <파적>은 고양이가 병아리를 채가며 벌어진 갑작스런 소란을 박진감 있게 그린 것으로, 돌발적인 일상의 순간을 해학적으로 묘사한 점에서 김득신 풍속화의 백미라 할 수 있다.


    61세인 1815년에 그린 《풍속도》 8폭병은 김홍도가 34세였던 1778년에 그린 《행려풍속도병(行旅風俗圖屛)》과 유사한 작품이다.


    여기에 김홍도의 경직도와 평생도의 소재 및 기법을 절충하고, 자신이 즐겨 쓰던 세부표현을 추가하고 산수묘사를 충실히 한 것이 특징이다.


    남종문인화풍의 풍속화로는 <귀시도(歸市圖)>가 대표적이다. 다리를 지나가는 인물들을 사의적(寫意的)으로 간략히 표현하고, 후경을 담묵으로 처리하여 서정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이와 같이 김득신은 김홍도의 풍속화풍을 계승하여 배경묘사와 세부표현을 발전시켰으며, 아울러 새로운 소재를 발굴하고 해학적인 분위기를 가미했다. 산수화는 김응환 · 심사정 · 김홍도의 영향을 받았다

    출처 :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