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일반적으로 다음식을 먹으면
충치가 생긴다고 하는데요
충치가 발생하는 정확한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충치를 치료하는 과정과 원리가 궁금합니다
충치는 충치균이 활성화되었을때 활동으로 내뿜는 산이 치아를 부식(탈회)시키는 것입니다 충치균은 당 성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음식을 먹고 이를 바로 안닦으면 치아에 당 성분이 오래 잔류하게 되면 충치균이 활성화됩니다
충치치료는 충치먹은 부위를 모두 제거하고 그곳을 치과용재료로 메우는 것입니다
충치는 지하가 찬성 환경에 노출이 되었어 생기게 됩니다 구강 내에 있는 당분은 충치균에 의해서 분해가 되면서 산성화가 되는데이 산성화가 된 시간이 길수록 치아 표면이 약해지게 되고 충치가 생기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치아 주변이 산성화되지 않도록 음식을 먹고 나서는 양치질을 꼼꼼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충치균은 당분을 좋아해서 음식속에 있는 당분을 먹고 젖산을 배설하는데 그 젖산이 치아를 탈회시켜 무기질을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충치가 생기는 것입니다. 충치치료는 재료마다 과정과 원리가 조금씩 다르기는 한데, 어쨌든 충치가 생긴 부분을 파내고 그 공간에 인공적으로 만든 치과재료로 메꾸는 것은 같습니다. 그 중 레진은 특수한 표면처리를 통해 치아와 접착시키는 원리이고, 아말감은 치아와 접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안쪽은 더 넓게 파서 메꿔넣어 굳혀서 빠지지 않게 하는 원리이고, GI는 치아와 화학적결합을 하고 재료자체에 들어있는 불소성분이 치아에 접촉해서 남아있는 조금의 충치를 억제해주는 효과를 내기도 합니다.
충치는 입안의 세균이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여 산을 만들어, 이때 생긴 산이 치아를 부식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충치예방을 위해서는 입안에 음식물이 남지 않도록 꼼꼼히 양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충치 세균의 대사작용 결과로 발생하는 산 성분 때문에 치아의 표면이 손상되어 구멍이 생기는 것으로
충치가 생기면 충치부위를 제거한 후 레진으로 채워넣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