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아기마법사 아하라
아기마법사 아하라23.05.19

나전칠기가 처음 제작된 때와 처음 제작한 분은 누구인가요?

제가 1985년 다섯살때 이웃집에 있던 가구에 나전칠기 문양이 기억나는데요. 나전칠기는 언제부터 누가 처음 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전칠기 우수성


    옻칠바탕에 무지개 빛 영롱한 전복껍질을 붙이고 그림과 무늬를 놓아 제작하는 장식기법으로 특히 통영나전칠기가 유명한 것은 이 지방의 전복,소라,조개껍질이 그 모양과 색깔이 화려하여 전국 최고품으로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입니다.


    나전칠기란, 옻칠공예의 수만은 표현 기법 중에 자개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표현기법입니다. 나전칠기를 시작한 싯점은... 12세기초 고려시대 문종때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자개농'으로 알려 져있어 흔하게 느껴지지만 나전칠기는 옻칠을 하는 나라 중에 우리나라만이 유일하게 발전된 기법입니다. 이는 휘어져 있는 조개 껍데기를 얇게 저미며 평평하게 피는 기술이 우리나라에서 발전되었기 때문이죠!



    옻칠의 역사는 청동기시대때 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며 통일신라때 나전칠기의 기원인 평탈칠기가 유행하여 고려 시대때 나전칠기의 수준이 경지에 올라 아직까지 보전되어 이어져오는 전통기법 입니다.


    용도는 목기(木器)의 바탕을 소재로 나전을 가공하고 부착하여 칠을 한 공예품등을 만들며 . 널리 대모(玳瑁), 호박, 상아, 보석등의 소재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나전 칠기를 하는 방법


    나전에 사용하는 조개껍데기는 야광패(夜光貝)·전복껍데기가 주로 쓰이며 이 밖에도 담패(淡貝)·현패(蜆貝:가막조개멕시코 포패(鮑貝) 등 진줏빛을 내는 조개를 사용한다. 조개껍데기를 숫돌 등에 갈아서 여러 두께로 만들어낸다. 이것을 100장씩 포개 놓은 것이 두께의 단위가 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후패(厚貝)가 4치(12.1cm), 박패(薄貝)가 2푼 5리(7.3mm)짜리를 기준으로 삼고 각종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것을 붙이는 방법은 크게 나누어 감입법(嵌入法:나전의 문양대로 목심을 도려내고 거기에 끼우는 법)·첩부법(貼附法:문양을 아교나 풀로 붙이는 법)·살부법(撒附法:나전을 잘게 썰어 뿌려 붙이는 법)의 3가지 방법이 있으며, 다시 조개껍데기를 성형하는 방법과 작업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후패법(厚貝法)은 조개껍데기의 후판(厚板)을 끌이나 실톱으로 자른 다음 줄칼로 형태를 다듬는다. 이것을 목심이나 칠면에 붙이는 방법은 위에서 말한 감입법이나 첩부법을 사용한다. 붙이기 작업이 끝나면 닦아서 윤을 낸다.

    박패법(薄貝法)에는 얇은 자개를 자르는 데는 손칼이나 바늘 끝 등을 사용하는 '도려내기법'과, 무늬가 똑같은 끌을 만들어 찍어내는 '찍어내기법'이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낸 무늬를 첩부법으로 목심에 붙이고 마무리작업을 한다. 이 밖에 조개껍데기를 원형대로 붙여 놓고 그 위에 옻[漆]으로 무늬를 그려 이것이 마른 다음 희석한 염산을 발라 무늬 이외의 부분을 부식시키는 '부식법'도 있다.

    할패법(割貝法)은 자개조각에 인공적으로 균열을 만들어 둥근 기물 등에 붙이는 방법이다. 균열을 만드는 데는 후패의 경우 자개를 종이에 붙이고 망치로 쪼개거나 유발(乳鉢)로 부수고, 박패의 경우는 한지에 붙인 자개조각을 붓대 등에 감아서 금이 가게 하거나 미리 바늘 끝으로 자개에 선을 내어 감는다.

    시패법(蒔貝法)은 자개를 잘게 부수어 뿌려서 붙이는 방법으로 세편(細片)을 체에 쳐서 분류하는데, 그 중 잔것을 미진패(微塵貝)라 하며 소도구의 장식용 등에 쓰인다.

    치패법(置貝法)은 세모꼴·네모꼴·마름모꼴 등으로 자개조각을 잘게 잘라 칠면에 늘어놓는 방법이다.

    복채법(伏彩法)은 얇은 자개의 뒷면에 채색하거나 금박하는 방법으로 중국 명나라 때 성행하였다.

    모조법(毛彫法)은 자개에 머리털 같은 가는 선을 새기는 방법으로 꽃잎·나뭇잎·깃털 등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부조법(浮彫法)은 칼을 사용하여 자개에 무늬를 양각하는 방법으로 조패(彫貝)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