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1

주식의 per가 낮으면 실질적으로 시장에서는 저평가로 평가하나요?

주변에 주식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어떤 종목은 per가 몇이다 라면서 저평가다 고평가다 이런식으로 얘기를 하는데

per가 낮으면 저평가인게 맞는것인가요? per의 계산식은 무엇이고 실질적으로 per가 낮다고 해서 저평가가 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자훈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자훈 경제전문가22.12.11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n)입니다.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당기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나눈 값을 PER이라고 합니다.

    산업군마다 고평가/저평가 기준이 달라서, 반드시 비교산업군의 PER을 살펴 판단해야 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주가의 수익성 지표입니다.

    보통 동종업계 등에 비하여 PER이 낮다면 저평가를 받고 있다고는 하나

    순전히 주가가 많이 하락하여 PER이 낮아질 수 있는 등 PER만 가지고

    투자를 진행하시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로 볼수 있으며 Per가 낮으면 저평가로 보는 경우도 많지만 사실 미래 전망이 안좋기 때문에 PER가 낮은 경우도 허다합니다. 단순히 PER가 낮다고 투자하시면 안되고 기업의 여러 조건을 함께 확인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PER은 시총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들어 연간 당기순이익이 1조이면 시총이 4조인경우 PER을 4라고 합니다.

    보통 PER 10이하면 가치주라고 말합니다. 한국 시장의 PER이 10~11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그 이상은 성장주라고 불립니다.

    PER은 낮다는건 그만큼 낮은 이유가 있습니다. 예를들어 이익이 들쑥날쑥 한다던지, 부가가치 낮은 섹터인지 등 다 그만한 저평가의 이유가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무조건 PER 낮은 종목을 산다는건 리스크가 큽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PER은 현재 주가를 EPS로 나누어 구하며, EPS가 1,000원, 주가가 현재 10,000원이라면 PER은 10배가 되는 식입니다. 즉, PER이 낮으면 '순이익' 대비 해당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 이렇게 보는 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이 낮다고 해서 투자 가치가 큰것은 아닙니다. PER 외에도 종목별로 시장 상황과 실적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표는 말그대로 지표이므로 완벽하게 시장에서 적용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ER란 주가수익비율을 말하며, PER의 계산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세금 납부 후 이익) = 주가 / EPS]

    예를 들어서 회사의 결산 후 1주당 당기순이익이 10,000원이고, 회사의 현재 주가가 300,000원이라면 이 회사의 PER는 [300,000원 / 10,000원] = 30이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PER이 10보다 낮은 경우에는 저 PER로 분류되어서 향후 모수인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보통 PER이 낮으려면 '주당순이익보다 주가가 낮거나 (자수가 낮은경우)'인 경우가 많다보니 회사의 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되기 위해서는 PER가 평균수준으로 올라가게 되니 결국 모수인 주가가 상승을 해야한다는 결론으로 가게 됩니다. 즉 PER가 낮으면 저평가된 주식이라고 판단하게 되는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